- 영문명
- The Estimation of Future Pump Capacity on the Urban Drainage System using Climate Change Scenario(RCP)
- 발행기관
- 한국방재학회
- 저자명
- 강나래 이건행 노희성 김형수 Kang, Na Rae Lee, Keon Haeng Noh, Hui Seong Kim, Hung Soo
- 간행물 정보
- 『2. 한국방재학회 논문집』13권2호, 299~310쪽, 전체 12쪽
- 주제분류
- 공학 > 기타공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3.04.30
4,2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최근 기상이변의 증가로 인해 돌발성 집중호우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다. 기상청에서는 이런 기후변화에 대비하기 위하여 최근 온실가스 증가경향을 반영한 새로운 온실가스 시나리오를 제시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새로운 온실가스 시나리오인 RCP 시나리오를 이용하여 인천광역시의 미래기간에 대한 목표기간별 확률강우량의 변화를 추정하였다. 이를 토대로 미래에 증가되는 빗물펌프장 용량을 추정하여 현 시설물의 필요(수요)용량을 산정하였다. 최악의 시나리오인 RCP 8.5에 따르면, 대상지역인 인천광역시의 9개 빗물펌프장 중 3개소는 미래 강우의 증가에도 어려움이 없을 것으로 판단되나, 나머지 6개 펌프장의 시설용량은 미래 강우를 수용하기에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목표기간III(2071-2100) 강우를 수용하기 위해선 현재 시설용량을 6배정도 증설해야할 것으로 예상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해 도출된 결과를 토대로 인천지역의 미래 도시배수시스템의 용량을 검토하여 대비할 필요가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영문 초록
In the recent years, flash flood and local heavy rainfall have been frequently occurred in Korea and this may be due to the climate change.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KMA) and IPCC AR5 reported new greenhouse gas scenario called RCPs(Representative concentration pathways). This study tries to analyze the variability and trend of future rainfall using the new RCP scenarios. Based on this, we estimate the needed capacity(demand) at existing pumping station for the future. The study area is Incheon-city, Korea which has 9 pumping stations. This study uses the RCP 8.5 which is the worst scenario of RCPs for the impact assessment of climate change and there will be no difficulty in the three of nine pumping stations for the future rainfall. But, the capacities of 6 pumping stations will not be sufficient for the future rainfall and runoff. It is expected to construct more pumping stations allowable 6 times of existing pump capacity especially for Target III(2071-2100). Therefore, we may need to prepare for the future flood damage potential by reviewing the capacity of future drainage system in Incheon city.
목차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교량 및 터널 보수·보강 기준 제정을 위한 국내외 보수·보강 매뉴얼 분석
- 극한해석에 근거한 철근 콘크리트 깊은 보의 현재 설계기준에 대한 타당성 검토
- 운동파이론 기반 지형기후학적 순간단위도를 이용한 도시유역 유출 분석
- 공간적 분포특성과 엔트로피를 고려한 강우관측소 평가: 하댐 유역을 중심으로
- 균일한 점성토 지반에 시공된 석션 케이슨 앵커의 인발력
- 다기준의사결정기법을 이용한 홍수위험지구 선정
- 유리 연마슬러지를 혼입한 콘크리트의 복합열화 저항성에 관한 실험적 연구
- 기후변화 시나리오(RCP)를 이용한 도시지역 빗물펌프장의 미래 필요용량 산정
- 다변량 분석을 이용한 서울의 상습침수지역 유형화
- 지진해일 대피소 실태 및 주민의식조사 연구 - 삼척지역을 중심으로 -
- 풍수해 대응을 위한 안양천 유역의 복원탄력성 평가
- 고온환경에서 소방방화복 착용시 작업강도가 신체에 미치는 영향
- 농업용 저수지를 고려한 홍수경보 강우량 산정
- 방재자원 통합 서비스 체계 연구
- 저수지 준설에 의한 수질개선 효과분석
- 지진해일을 고려한 해양경찰의 의식조사에 관한 연구
- 침투량 산정 방법에 따른 유역유출 연속모의의 정확성 평가
- 공동주택 화재시 화염 및 연기 확산 분석을 위한 실험적 연구
- 입자크기 변화에 따른 마그네슘 분진의 폭발특성
- 대형 화산재해 사례조사를 통한 방재대응 분석
- 수직지반운동의 특성과 3층 RC건물의 응답에 미치는 영향
- 미소파괴음을 이용한 KURT 화강암의 미시적 균열발달특성에 관한 연구
- 낙동강 중소하천 홍수예경보시스템 구축을 위한 한계강우량 산정과 적용
- 코핑-주형 일체 교량의 접합부 형상에 따른 거동분석
- 적설량 예측을 위한 신경망 및 다중회귀 모형의 적용성 평가
- 도심지 하수거 중간맨홀의 유사퇴적 저감 실험
- 화재원인 판정 오류 원인의 분석
- 부착식 주입형 철근앵커의 부착력에 관한 실험적 연구
- 토목섬유 및 메타카올린 첨가 시멘트 벤토나이트 혼합토의 내구성 및 미세구조 특성
- 산업기밀 손실 방지를 위한 순환적 산업보안 관리과정 모델 구축에 대한 연구
- 풍하중을 받는 편지식 지주구조물의 단면설계 알고리즘
- 산사면의 지진동 증폭 특성
- 마이크로 CT 이미지를 활용한 단열콘크리트 시편의 성분 분석
- 후 설치 앵커 성능평가와 해석모델
- Numerical and Experimental Studies of the Analysis of Heat Flow in Building Fires
- 중력하중을 고려한 H형강 기둥의 방폭성능에 대한 해석적 평가
- 지오셀 보강 친환경성 투수성포장의 현장 적용성 검토
- 초음파 반사이미지와 고유주파수 변화를 이용한 해상 기초구조물의 세굴도 평가
- 표준강수 증발산량지수(Standardized Precipitation Evapotranspiration Index)와 대표농도경로(Representative Concentration Pathways)를 이용한 남한지역 미래 가뭄의 변화전망
- 사업장 화재 경보음 인지정도에 관한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공학 > 기타공학분야 BEST
- 피난 시뮬레이션을 통한 아파트 피난 안전성 및 소요시간에 관한 연구
- 지역회복력지수 기반 환경보건 취약지역 선정을 위한 누적영향평가
- 중학생들의 인공지능 관련 사회-과학쟁점 토론에서 나타난 논증 특징과 인식
공학 > 기타공학분야 NEW
- 적정기술학회지 제11권 제2호 목차
- 온라인 학습 도움 시스템
- Solar Distillation for Potable Water Provision in Remote Regions: Implementation of Inclined-Angle Solar Stills on the Galápagos Islands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