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사업장 화재 경보음 인지정도에 관한 연구

이용수  33

영문명
A Study on Awareness Rate of the Fire Alarm Sound in the Factory
발행기관
한국방재학회
저자명
이영삼 이동호 Lee, Young-Sam Rie, Dong-Ho
간행물 정보
『2. 한국방재학회 논문집』13권2호, 163~174쪽, 전체 12쪽
주제분류
공학 > 기타공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3.04.30
4,2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사업장 내에 존재하는 다양한 소음에 의해 피난에 많은 영향을 주고 있다. 특히 사업장에서 가동되는 각종 기계설비 및 유틸리티 설비의 기기음(암소음)에 의해 화재경보음 인지가 지연되어 사망률이 증가되고 있다. 또한 최근 들어 값비싼 토지 비용 때문에 고층의 아파트형 공장이 도심지 또는 대도시 근방에 많이 건립되고 있다. 이러한 아파트형 공장에서 화재가 발생 될 경우 인명피해는 더욱 늘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문제점을 분석하기 위해 실제 상황을 조장하여 경종의 형식 승인 및 검정기술기준 시험세칙(KOFEIS 0305)과 미국방화핸드북(Fire Protection Handbook)의 측정기준 및 예시기준에 따라 조건별로 실험하였다. 실험은 복도에 있는 경종을 소음측정기로 90dB 음량으로 세팅하고 실내에서 기기실로부터 녹취한 기기음을 스피커로 음(70dB, 80dB, 90dB)을 발생시켰다. 그리고 청력에 이상이 없는 20대초 연령의 피험자를 대상으로 거리별, 출입문의 개 폐 조건별, 기계음 종류별, 방음보호구 착용여부 조건에 따른 경보음 인지정도 측정 및 분석을 하였다. 실험결과 기기실 문을 닫고 방음보호구를 착용 시 대부분의 피험자가 화재경보음을 인지하지 못하였다. 미국방화협회(NFPA)에서는 암소음이 85dB이거나 이상일 경우 다른 경보방법을 강구하도록 되어있다. 따라서 기기음과 장소의 특성을 고려하지 않는 일률적인 화재경보음의 설계에 대한 제도적 및 법적개선이 요구되는 결론을 도출하였다.

영문 초록

Most work places operating machines have a lot of background noise that affect evacuation from a factory. Especially, a lot of background noise from utility machines cause delay of awareness of fire alarm sound and also increase death rate. Currently, skyscraper type factories have been constructed at around big cities because of high land price. The complexity of skyscraper type factories leads to increase death rate on fire.This study was to research problems using experiment as the same workplace situation according to KOFEIS 0305 and the US Fire Protection Handbook. The experiment was conducted using the speakers to produce machine sound(70dB, 80dB, 90dB) in the room. The fire alarm sound was produced from a corridor. Also the experiment was done using persons(around 20 years old and without damage of ears) under different conditions such as distance from the alarm system, open and closed doors, machine sounds, and with and without ear protection. As a result of the measurements, it showed that in the case of wearing ear protection, most people could not hear fire alarm sound in the room with closed door. NFPA suggests that the alarm system should be considered of other methods to know alarm sound when the background noise exceeds 85dB or more. Therefore it was concluded that the design of the fire alarm systems should not be applied to the workplace without considering background noise and that there needs to be improvement with regulations and the systems.

목차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영삼,이동호,Lee, Young-Sam,Rie, Dong-Ho,. (2013).사업장 화재 경보음 인지정도에 관한 연구. 2. 한국방재학회 논문집, 13 (2), 163-174

MLA

이영삼,이동호,Lee, Young-Sam,Rie, Dong-Ho,. "사업장 화재 경보음 인지정도에 관한 연구." 2. 한국방재학회 논문집, 13.2(2013): 163-17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