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응력 저감을 위한 지중 파형 관로 마감부 보강재 및 곡선 연결부 설계
이용수 7
- 영문명
- Design of End Plate Stiffeners and Curved Connection of Buried Corrugated Pipes for Stress Reduction
- 발행기관
- 한국방재학회
- 저자명
- 한택희 오명학 강영종 Han, Taek Hee Oh, Myoung Hak Kang, Young Jong
- 간행물 정보
- 『2. 한국방재학회 논문집』12권2호, 9~16쪽, 전체 8쪽
- 주제분류
- 공학 > 기타공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2.04.30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파형강관 관로의 마감부와 연결부에 대해 안전성 해석을 수행하였다. 강재 마감부에 보강재 설계를 수행하여 안전성을 검토하였으며, 콘크리트로 마감부를 설계한 경우에 대해서도 안전성을 검토하였다. 해석결과, 강재 마감부의 경우에는 보강재의 설치가 반드시 필요하며, 보강재 크기나 마감재의 두께 증가 보다는 보강재의 수를 늘리는 것이 효율적이었다. 콘크리트 마감부의 경우에는 강재 마감부에 비해 두께가 크기 때문에 보강재의 설치는 필요 없었다. 연결부에 대해서는 본관보다 작은 직경의 분기관이 연결될 경우와 본관과 동일한 직경의 분기관이 연결될 경우에 대하여 해석을 수행하여 안전성을 검토하였으며, 본관과 분기관의 직경이 다른 경우에는 양 측면에서 응력 집중이 발생하며, 본관과 분기관의 직경이 동일한 경우에는 연결부 상단에서 응력집중 현상이 가장 크게 발생하였다. 연결부 응력집중 현상을 저감하기 위하여 연결부를 곡선으로 처리하여 해석한 결과, 연결부의 응력집중 현상이 저감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영문 초록
Safety analyses were performed for the end sides and connections of buried corrugated steel pipes. A steel end plate with stiffeners and concrete end plate were analyzed with a FEA program and their safeties were checked. The analysis results showed that the steel end plates required stiffeners for the safety. And it was efficient to increase the number of the stiffener for the safety. However, the concrete end plate was safe without any stiffener because it is very thicker than the steel one. For connection, two cases were considered. One was the connection between two pipes which had different diameters. The other case was the connection between two pipes which had equal diameters. In the first case, the stress concentration occurred along the side line of the connection. In the second case, the stress concentration occurred on the top of the connection. To mitigate the stress concentration, the connection part was redesigned to have curved surface, and it was efficient to decrease the stress concentration.
목차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결함 나무 분석 기법을 이용한 해상추락사고 분석
- 원자로냉각재 펌프 주 플랜지 볼트 누설률 평가
- 확률강우량을 초과하는 호우사상의 발생특성 분석
- RCP 기후변화 시나리오 기반의 미래 극한강수의 비정상성 빈도해석
- 방재역량 강화를 위한 방재교육훈련 활성화방안 연구
- 3차원 수치모형을 이용한 댐 붕괴파 모의에 관한 연구
- 응력 저감을 위한 지중 파형 관로 마감부 보강재 및 곡선 연결부 설계
- 하천 흐름 수치모의에 미치는 조도계수의 영향 분석
- 기후변화를 고려한 미래 목표연도 확률강우량의 앙상블 예측
- 기후변화와 대규모 하천정비 사업을 고려한 낙동강 유역 자연재해 홍수 취약성 평가
- 점토지반에 설치된 말뚝의 하중전이 특성
- RUSLE 모형의 산지유역 적용을 위한 지표관리 인자 산정식 제안
- 불확실성을 고려한 SWAT 모형의 최적 매개변수 산정
- 가능 최대지진해일을 이용한 재해정보도 제작
- 하수처리장 혐기 소화 상징액과 돈사폐수를 이용한 장기간에 걸친 실험실 규모 아질산화 반응 연구
- 고강도 콘크리트에서의 전단 스터드 내력에 관한 연구
- 성능위주 피난안전설계를 위한 한국인 대상 유출계수 측정 실험
- 충격수평하중을 받는 모노파일의 거동 평가
- 서귀포해역 폭풍해일에 의한 설계조위 예측
- 수해취약성인자를 이용한 고위험 도시침수지역의 평가기법에 대한 연구
- 폐 광산 주변 농경지 토양의 중금속 안정화 연구
- 미계측 소유역에서의 강우-홍수심도 관계 분석
- 가로수목공간 조성기술의 적용을 통한 장기 우수유출 저감효과 분석
- 수치해석을 통한 철도노반 접속부 지지강성 최적화 방안
- 다기준의사결정기법을 이용한 도시 내수침수 위험도 평가기법
- Web 기반의 실시간 수질오염사고대응예측시스템 개발
- 패턴인식기반 역사구조물건전성평가기법에 대한 수치해석 검증분석
- 다목적 최적화 기법을 이용한 도시유역 경계 결정 및 우수관망 최적 설계
- 확률도시 상관계수 검정을 활용한 임원항 지진해일 위험지역 분석
- 사이클론에 대한 피지의 방재력 정량화 연구
- 우수관망 신뢰도 산정 방법의 개발
- 이중편파 레이더의 강우관측 능력 평가
- 부착식 PSC 텐던의 종진동 탄성파 속도의 추정 방법
- 소양호 유역의 오염총량관리를 위한 유달율 산정
- 붕괴위험지구 투자우선순위 결정 개선방안
- 우리나라 주요 산불방지기술 변화 분석
- Bottom Ash골재 사용을 위한 제조기술 및 이를 사용한 경량콘크리트 패널의 난연성능에 관한 실험적 연구
- 기존 배전반 이중바닥시스템의 내진보강 기술
참고문헌
관련논문
공학 > 기타공학분야 BEST
더보기공학 > 기타공학분야 NEW
- [권두언] 강의혁신은 교육혁신의 출발점
- [함께하는 공학교육] 우수 융합인재의 산실, 성균관대 사회적 연결을 위한 인터랙션 빅데이터 BK21 교육연구단
- [공학교육현장] 지능형로봇 사업단의 지역사회 기여 및 연계프로그램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