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우리나라 주요 산불방지기술 변화 분석
이용수 71
- 영문명
- An Analysis and Study on the Change of Forest Fire Technigue in Korea
- 발행기관
- 한국방재학회
- 저자명
- 이시영 윤화영 성준경 박흥석 Lee, Si-Young Yun, Hoa Young Sung, Joon Kyung Park, Houng Sek
- 간행물 정보
- 『2. 한국방재학회 논문집』12권2호, 121~130쪽, 전체 10쪽
- 주제분류
- 공학 > 기타공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2.04.30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1945년부터 2010년 까지 우리나라 주요 산불정책 변화 분석과 향후 정책대안을 마련하기 위하여 광복이후 산림청 발족 이전(1945~1966), 산림청 발족 이후 산림기본계획 수립이전(1967~1972), 제1차 산림기본계획기(1973~1978), 제2차 산림기본계획기(1979~1987), 제3차 산림기본계획기(1988~1997), 제4차 산림기본계획기(1998~2007), 제5차 산림기본계획기(2008~현재) 등 7단계로 나누어 분석한 결과, 1996년 4월 강원 고성산불을 계기로 산불조직, 제도 및 기술의 발전을 가져왔으며, 향후에는 보다 체계적인 지역단위 산불대응체계의 정착과 훈련이 필요하다.
영문 초록
In this study, we studied and analyzed the change of forest fire policies in order for helping to improve a established forest fire policies. We divided into 7 periods for easier analysis. The first period was `the period of pre-establishing the Korea forest service after independence (1945-1966). And the second was `the period of pre-basic plan of forest` after establishing the Korea forest service(1967-1972). The third was `the period of the first basic plan of forest`(1973-1978). The forth was `the period of the second basic plan of forest`(1979-1987). The fifth was `the period of the third basic plan of forest`(1988-1997). The sixth was `the period of the forth basic plan of forest`(1998-2007). And the seventh was `the period of the fifth basic plan of forest`(2008-present). In the result, the fire fighting organization, system and techniques was made rapid progress after Goseong forest fire in Kangwon region in April 1996. For future large scale forest fire attacking, the establishment of more systematical regional forest fire action plan and exercise from this would be needed.
목차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결함 나무 분석 기법을 이용한 해상추락사고 분석
- 원자로냉각재 펌프 주 플랜지 볼트 누설률 평가
- 확률강우량을 초과하는 호우사상의 발생특성 분석
- RCP 기후변화 시나리오 기반의 미래 극한강수의 비정상성 빈도해석
- 방재역량 강화를 위한 방재교육훈련 활성화방안 연구
- 3차원 수치모형을 이용한 댐 붕괴파 모의에 관한 연구
- 응력 저감을 위한 지중 파형 관로 마감부 보강재 및 곡선 연결부 설계
- 하천 흐름 수치모의에 미치는 조도계수의 영향 분석
- 기후변화를 고려한 미래 목표연도 확률강우량의 앙상블 예측
- 기후변화와 대규모 하천정비 사업을 고려한 낙동강 유역 자연재해 홍수 취약성 평가
- 점토지반에 설치된 말뚝의 하중전이 특성
- RUSLE 모형의 산지유역 적용을 위한 지표관리 인자 산정식 제안
- 불확실성을 고려한 SWAT 모형의 최적 매개변수 산정
- 가능 최대지진해일을 이용한 재해정보도 제작
- 하수처리장 혐기 소화 상징액과 돈사폐수를 이용한 장기간에 걸친 실험실 규모 아질산화 반응 연구
- 고강도 콘크리트에서의 전단 스터드 내력에 관한 연구
- 성능위주 피난안전설계를 위한 한국인 대상 유출계수 측정 실험
- 충격수평하중을 받는 모노파일의 거동 평가
- 서귀포해역 폭풍해일에 의한 설계조위 예측
- 수해취약성인자를 이용한 고위험 도시침수지역의 평가기법에 대한 연구
- 폐 광산 주변 농경지 토양의 중금속 안정화 연구
- 미계측 소유역에서의 강우-홍수심도 관계 분석
- 가로수목공간 조성기술의 적용을 통한 장기 우수유출 저감효과 분석
- 수치해석을 통한 철도노반 접속부 지지강성 최적화 방안
- 다기준의사결정기법을 이용한 도시 내수침수 위험도 평가기법
- Web 기반의 실시간 수질오염사고대응예측시스템 개발
- 패턴인식기반 역사구조물건전성평가기법에 대한 수치해석 검증분석
- 다목적 최적화 기법을 이용한 도시유역 경계 결정 및 우수관망 최적 설계
- 확률도시 상관계수 검정을 활용한 임원항 지진해일 위험지역 분석
- 사이클론에 대한 피지의 방재력 정량화 연구
- 우수관망 신뢰도 산정 방법의 개발
- 이중편파 레이더의 강우관측 능력 평가
- 부착식 PSC 텐던의 종진동 탄성파 속도의 추정 방법
- 소양호 유역의 오염총량관리를 위한 유달율 산정
- 붕괴위험지구 투자우선순위 결정 개선방안
- 우리나라 주요 산불방지기술 변화 분석
- Bottom Ash골재 사용을 위한 제조기술 및 이를 사용한 경량콘크리트 패널의 난연성능에 관한 실험적 연구
- 기존 배전반 이중바닥시스템의 내진보강 기술
참고문헌
관련논문
공학 > 기타공학분야 BEST
더보기공학 > 기타공학분야 NEW
- [권두언] 강의혁신은 교육혁신의 출발점
- [함께하는 공학교육] 우수 융합인재의 산실, 성균관대 사회적 연결을 위한 인터랙션 빅데이터 BK21 교육연구단
- [공학교육현장] 지능형로봇 사업단의 지역사회 기여 및 연계프로그램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