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study of Assessment for Internal Inundation Vulnerability in Urban Area using SWMM
- 발행기관
- 한국방재학회
- 저자명
- 손태석 강동호 장종경 신현석 Shon, Tae-Seok Kang, Dong-Ho Jang, Jong-Kyung Shin, Hyun-Suk
- 간행물 정보
- 『2. 한국방재학회 논문집』10권4호, 105~118쪽, 전체 14쪽
- 주제분류
- 공학 > 기타공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0.08.31
4,4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도시지역의 지형적인 저지대, 배수능력 부족, 하수역류 노면배수 등은 내수침수의 주요원인이며 최근 기후변화에 따른 강우증가, 경제발전과 인구증가에 따른 급격한 도시화, 도시지역 불투수 면적의 증가는 도시지역 내수침수의 위험성을 가중시키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도시지역의 내수침수 위험도 분석을 위하여 부산시 대표 도시하천인 온천천을 대상유역으로 하여 SWMM 모형을 구축하고 각 소유역의 대표 우수관을 선정하여 강우에 의한 도시하천 내수침수 위험 취약성 분석을 실시하였다. 침수위험 취약성 분석을 위하여 SWMM모형 내 관거의 용량을 나타내는 지표인 Capacity를 이용하였으며 Capacity에 따라 내수침수 위험도를 1단계에서 4단계로 구분하였다. 내수침수 위험도 분석은 2009년 7월 7일 부산시 집중호우에 의한 실제침수 구역과 SWMM 모형의 모의에 의한 결과를 비교 분석하여 모형의 타당성을 입증하고 부산지점 빈도별(10, 20, 50, 100년) 지속시간별(6, 12, 18, 24hr) 확률강우량을 입력하여 내수침수 위험 취약성 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도시지역의 내수침수 예경보 및 내수침수 취약지구 선정에 활용가능할 것이다.
영문 초록
The topographical depressions in urban areas, the lack in drainage capability, sewage backward flow, road drainage, etc. cause internal inundation, and the increase in rainfall resulting from recent climate change, the rapid urbanization accompanied by economic development and population growth, and the increase in an impervious area in urban areas deteriorate the risk of internal inundation in the urban areas. In this study, the vulnerability of internal inundation in urban areas is analyzed and SWMM model is applied into Oncheoncheon watershed, which represents urban river of Busan, as a target basin. Based on the results, the representative storm sewers in individual sub-catchments is selected and the risk of vulnerability to internal inundation due to rainfall in urban streams is analyzed. In order to analyze the risk and vulnerability of internal inundation, capacity is applied as an index indicating the volume of a storm sewer in the SWMM model, and the risk of internal inundation is into 4 steps. For the analysis on the risk of internal inundation, simulation results by using a SMMM model are compared with the actual inundation areas resulting from localized heavy rain on July 7, 2009 at Busan and comparison results are analyzed to prove the validity of the designed model. Accordingly, probabilistic rainfall at Busan was input to the model for each frequency (10, 20, 50, 100 years) and duration (6, 12, 18, 24hr) at Busan. In this study, it suggests that the findings can be used to preliminarily alarm the possibility of internal inundation and selecting the vulnerable zones in urban areas.
목차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생태하천 조성을 위한 유지유량 산정기법의 적용
- 지역유형별 지역방재력에 관한 실태분석 - 강원도를 중심으로 -
- SWMM을 이용한 도시지역 내수침수 취약성 평가
- 단동온실의 설해 경감을 위한 해석 및 보강방법연구
- 한국소방산업의 발전 방향에 관한 연구
- 단열골재 개발을 통한 동토방지 기술개발에 관한 연구
- 도시화 진행에 따른 유역 유출특성 변화에 관한 연구
- 운동파모형을 이용한 저류함수법 매개변수의 특성 평가
- 유전자 알고리즘을 이용한 구조계수추정 목적의 최적 계측점 선정
- 지하공동구 화재예방활동 및 진압대책에 관한 연구
- 미계측 유역에서의 확률강우에 대한 돌발홍수지수 산정
- 가중치 산정기법과 Utopian Approach를 결합한 Weighted Utopian Approach의 제안
- 지진해일 재해정보도 제작
- 내부 구속 중공 RC 교각의 매개변수 연구
- 고성능 습식 숏크리트의 레올로지에 관한 기초연구
- 초고층 건물의 비상계단 대피실험에 관한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공학 > 기타공학분야 BEST
더보기공학 > 기타공학분야 NEW
- [권두언] 강의혁신은 교육혁신의 출발점
- [함께하는 공학교육] 우수 융합인재의 산실, 성균관대 사회적 연결을 위한 인터랙션 빅데이터 BK21 교육연구단
- [공학교육현장] 지능형로봇 사업단의 지역사회 기여 및 연계프로그램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