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질소제거에 체류시간이 미치는 영향 - 혐기 소화 상징액을 대상으로
이용수 33
- 영문명
- Effect of Retention Time on Nitrogen Removal Using Anaerobic Digester Supernatant
- 발행기관
- 한국방재학회
- 저자명
- 길경익 임지열 Gil, Kyungik Im, Jiyeol
- 간행물 정보
- 『3. 한국방재학회 학술대회논문집』2013년, 330~330쪽, 전체 1쪽
- 주제분류
- 공학 > 기타공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3.02.21
무료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하수에는 유기물, 질소, 인, 중금속 등 다양한 종류의 오염물질이 함유되어 있으며, 수계로 미처리하여 방류되게 되면 수계 수질을 악화시키게 된다. 그 중 질소(Nitrogen)와 인(Phosphorus)은 영양염류(Nutrient)로 분류되며 수계 부영양화(Eutrophication)의 주요한 원인으로 알려져 있다. 생물학적 영양소 제거 방법은 화학적 처리 방법에 비해 경제적, 환경적 및 운영적 장점을 가지고 있어 대부분의 하수처리에 적용되고 있다. 하지만, 현재 적용되는 기술에서는 암모니아성 질소를 질산성 질소 상태로 산화시킨 후 탈질 반응을 거치는 완전질산화(Nitrification)반응이 적용되고 있다. 만약 아질산성 질소 상태에서 탈질을 유도하는 아질산화 반응(Nitritation)을 적용하게 된다면, 완전질산화에 비해 이론적으로 약 25%의 산소를 절감할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하수처리장에서 슬러지 처리 공정 중 혐기 소화단계에서 발생하는 고농도 질소를 함유한 혐기 소화 상징액을 대상으로 하여, SRT가 암모니아성 질소 제거율(Ammonium nitrogen removal rate)와 아질산화율(NItrite conversion rate)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서울 A 하수처리장의 혐기 소화 상징액을 대상으로 한 실험실 규모 아질산화 반응조 운전 결과 안정적인 암모니아성 질소 제거율을 기대하기 위해서는 SRT 0.5d 이상, 고효율의 아질산화율을 기대하기 위해서는 SRT 1d를 유지해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암모니아성 질소 제거율의 경우 일정한 SRT 이상 유지시켜 주면, 안정적인 효율을 기대 할 수 있는 반면, 아질산화율의 경우에는 일정한 SRT를 유지시켜 주어야만 안정적인 효율을 얻을 수 있는 것으로 해석 할 수 있다. 따라서 암모니아성 질소 제거 및 아질산화 반응에 서 SRT는 그 효율 및 유도에 있어 매우 중요한 인자로 작용하는 것을 확인 할 수 있다.
영문 초록
목차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분산보정기법을 이용한 지진해일 전파모의의 정밀도 평가
- GIS를 활용한 기상재해로 인한 피해 현황과 분포 양상 분석
- 한반도 주위 화산재해위험성과 연구동향
- HSB500 후판 절곡 U형 단면보의 연성 거동에 관한 해석적 연구
- 유속에 따른 오염물 이송-확산 모형 분석
- 수방재 정책 수립을 위한 수자원정보의 활용방안
- 유속의 영향을 고려한 지진해일 위험도 평가와 이를 통한 지진해일 방재대책
- 다중벽탄소노나튜브를 활용하여 전자파 차단 콘크리트에 관한 기초연구
- 분포형 모형을 이용한 중소하천 예경보
- 중요목조문화재 안전관리 표준화 방안에 관한 연구
- 고립파의 처오름높이에 관한 연구
- 백두산 화산재 유입에 의한 국내 대기 환경관리 기초 연구
- 시멘트 및 메타카올린을 첨가한 화산재 블럭의 휨강도 특성
- 시멘트 및 메타카올린을 첨가한 화산재 혼합토의 압축강도 특성
- 시멘트 및 메타카올린을 첨가한 화산재의 수질정화용 블럭에의 적용을 위한 기초적 연구
- 강우 시 식생수로에서 질소와 인 저감
- AMSR2 데이터를 사용한 토양수분의 산정 방법 제안
- Copula 함수를 이용한 강우발생모의와 가뭄위험분석
- 지류하천의 홍수기 유출특성 분석 - 소양천을 중심으로 -
- 직선 개수로에서 Froude수 및 유량 변화에 따른 흐름과 하상변동 특성 연구
- 냉간성형 절곡에 의한 강재 후판부재의 파괴인성 영향
- 현장 여건을 고려한 도로포장 소음 측정방법 비교 연구
- 파키스탄 Kunhar강 유역 GIS기반 분포형 유출모형 구축 및 적용
- 섬진강댐 유역 장기유출 모의 분석
- 지능형 CCTV기반 자동수위감지 경보체계 구축 방안
- 극한지수를 이용한 기후변화가 한반도의 극한사상 발생에 미치는 영향 분석
- 질소제거에 체류시간이 미치는 영향 - 혐기 소화 상징액을 대상으로
- 나선형 와류 유입구에 관한 수치적 연구
- 지능형 CCTV기반 재난관리 중장기 로드맵 수립
- RCP 8.5 시나리오와 극한지수를 이용한 한반도의 극한 사상 분석
- 소방진압복의 유럽, 미국, 한국의 성능시험기준 비교
- GIS를 활용한 산지재해 발생특성 및 위험도 분석
- 문화재 재난관리시스템 구축을 위한 현황진단 및 개선방안 연구
- 농업용 저수지를 고려한 강우-유출 해석
- 기존 감쇠식을 활용한 국내 최적 감쇠식 선정
- 폭우재해 저감적응을 위한 공원녹지 관련 법제도 개선 방안 연구
- 천리안 위성 수문기상학적인자간의 상관성 분석
- 풍해 위험도 평가를 위한 내풍취약시설 및 지역 DB 구성방안 연구
- 공동주택 지하주차장의 균열에 의한 문제점 및 대책에 관한 연구
- 인공사석의 형상 및 배열에 따른 파(Wave)의 흐름특성 분석
- 원형 강합성 중공 RC 기둥의 심부 구속 횡방향 철근량과 연성도 연구
- 중소하천 홍수예.경보구축
- 선취적 목표계획을 이용한 중소블록별 제한급수 영향 최소화 기법
- 모니터링 및 수치모의를 이용한 하상변동분석 - 세종보 상류를 중심으로 -
- 빅데이터 분석을 통한 재난 전조감지 모델
- 비대칭으로 연결된 도로 합류부에서의 홍수흐름특성에 관한 수치적 연구
- 가능최대 범람확률에 의한 지진해일 위험도 분석
- 지류하천의 홍수기 유출특성 분석 - 신흥천을 중심으로 -
- 대표하중 조건에 따른 일축대칭 I형 변단면보의 비탄성 횡-비틀림 좌굴 강도 해석연구 고찰
- 풍수해위험지구 운영 및 관리 체계 문제점 분석
- 매립 석탄회를 활용한 유동화처리토의 역학적 특성
- 강풍에 의한 건축구조물의 피해패턴 분석
- 저수지 홍수추적을 이용한 지하저류조의 유출 저감 분석
- 기후변화 및 개발을 고려한 국제사회의 재해위험경감 추진 전략 분석
- 이차원 유한요소해석을 이용한 지진 시 지형효과의 영향 평가
- 녹색 교량의 전기 방식법 유지관리 시스템의 기초 연구
- 파키스탄 Patrind 수력발전 사업의 장기 저수지 퇴적 모의
- 수질오염 총량제도의 환경컨설팅 발전방향 연구
- 금호강 유역의 홍수예경보시스템 구축에 관한 연구
- UAV기반 실시간 공중모니터링시스템 개발 및 활용
- 콘크리트 구조물의 결함탐사에 대한 새로운 가시화 수법
- LID 검증 시뮬레이터의 실용성 평가에 관한 연구
- 인공위성 이미지를 활용한 고해상도 가뭄지도 개발
- 안양천 유역의 복원탄력성 평가를 위한 가중치 산정 및 비교
- 경량기포콘크리트를 이용한 piled-raft 공법의 연약지반 적용성에 관한 연구
- 하수슬러지 가수분해를 통해 생성되는 아미노산의 혐기성분해 평가
- 대심도 빗물배수터널의 유입구에서의 흐름특성 비교
- 아산시 하수관거의 침입수와 유입수 발생 특성 분석
- 지리정보와 KLAPS 중첩을 통한 재해정보 및 위험도 분석
- 토석류 충격력에 대한 평가분석
- 지진피해 예측을 위한 건축물의 현존가치 곡선 모델에 관한 연구
- 강합성 해중터널 개발 및 성능 분석
- 위험도 해석 기반의 댐 안정성 평가 방안 수립
- Suomi NPP 인공위성의 VIIRS 데이터를 통한 증발산의 분석방법 제안
- 화산분화재난이 육상교통에 미치는 영향조사 및 분석
- 내수 유입에 따른 연안해역의 해수면 변화 검토
- 보(고정/가동보)의 관리수위에 따른 홍수저감기법
- 이변량 빈도해석을 통한 측우기와 근대 연최대치 독립 호우사상 계열의 비교
- 월파시 방파제 안전난간에 대한 실험적 연구
- Data Mining 기법을 적용한 홍수위 예측기법
- 국내 낙석방지울타리의 성능평가 및 개선방안
- 폭염에 대한 방재 대책 마련을 위한 하계 집중 관측: 흑구온도
- 국내사례 분석을 통한 교통방재 관련 법.제도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 강원지방의 강우특성 및 설계강우량의 변화 분석
- 만경강의 하천공간 변화에 관한 연구
- 비점오염저감을 위한 도로변 적용 수목여과시설의 평가
- 도시 폭우재해 취약성 정보 시스템 구축과 활용방안 연구
- 가연물 종류에 따른 화재감지기 감도특성 변화에 대한 실험연구
- 친환경 지반 개발을 위한 혼합토의 역학적 특성 분석
- CCTV 기종별 성능 비교에 따른 수위감지 정확도 비교
- 자동차 경주대회시 발생소음의 거리별 감쇠특성
- 운동에너지탄에 의한 순간화재 발생 가능성에 관한 연구
- A Case Study on the Volcanic Eruption of Merapi 2010 and Kelud 2007, Java Island, Republic of Indonesia
- 목재칩-수지 혼합물의 기상조건에서의 물성 변화
- 해중 터널의 내화 해석
- 조립식 기둥의 코핑 접합부 상세 거동 분석
- 고층 건물 횡 변위 예측 알고리즘에 관한 해석적 연구
- 지역별 홍수피해특성을 고려한 홍수 피해 취약성 지수 개발
- 유하시설 또는 저류시설을 통한 도시방재성능 제고 방안에 관한 연구
- 강우패턴에 따른 불포화 사면의 안정성 특성
- 안내벽 각도에 따른 종횡경사형 나선식 유입구의 흐름 특성 검토
- USN 교량 교좌장치의 점검시스템 구축을 위한 기초실험 연구
- 실내실험과 1, 2차원 수치모형을 이용한 만곡수로의 수리특성 비교
- 방재 시뮬레이션 시스템 구축을 위한 IFC 기반 수방구조물 모델의 CityGML 모델 자동 생성 방안
- 중.소하천을 연계한 치수능력 증대방안에 관한 연구
- 지진 및 급경사지 방재를 위한 지하공간정보 확보 및 관리방안 연구
- 낙동강 유역의 홍수위험도 평가
- 수치모의를 이용한 와류 유입구 종류별 특성 분석
- 항구 주변 하천 존재와 지진해일 범람의 관계
- 항복응력에 따른 토석류의 퇴적 특성
- 식생여과대에서 부유물질과 유기물 저감
- 도시재해 관리를 위한 지오 빅데이터 기술전망
- 전기로 산화 슬래그 골재를 이용한 아스팔트 혼합물 현장 적용성 평가
- 3차원 수치모의를 이용한 유사배제 래버린스 보의 천공크기별 유사배제 효율성 검토
- 목조문화재 안전관리 표준화 방안에 대한 의식조사 연구(I)
- 태풍발생지역 해수면온도의 통계적 특성
- 급경사지 방재를 위한 지반정보 활용 방안에 관한 연구
- 뇌우에 의한 돌풍의 공간분포 특성
- 확률기상과 과거재해기상정보를 이용한 재해영향예보 방법
- 화산재해 대응시스템의 피해예측 소요 DB 개발 공정 연구
- 한강 준설에 따른 지류하천 합류부의 수리학적 모니터링
- 산사태 발생을 고려한 지방자치단체의 재난관리 실태조사 연구
- 백두산 화산폭발 후 예상되는 질환 발생 및 악화
- 지구내 저류시설의 유출저감효과 정량화
- 합성 구조 풍력타워 개발 및 성능 평가
- LID기법별 유역내 유출저감 경향분석
- 바람의 영향에 의한 강우의 변동성에 관한 연구
- 미계측 유역의 강우와 강우-유출모형의 불확실성을 고려한 유입량 산정방안 수립
- 가상 시나리오기반 지진해일 침수예상도 작성
- 지진해일 규모에 따른 동해안 범람특성 연구
- 기후변화를 고려한 불확실성 기반의 미래 물 부족량 추정 - 낙동강 유역을 대상으로 -
- 하도변화에 따른 영산강의 홍수위 검토
- 지형기복에 기초한 화쇄류, 화산이류, 화산성홍수의 피해범위 예측
- 사회분야 개발에 대한 방재개념 적용 전략 제시
- 통합형 화산재해 대응시스템 운영을 위한 플랫폼 아키텍처 수립
- 화산재 확산을 계산하는 프로그램에 대한 연구
- 주차장의 아스팔트 포장설계 기준 검토
- 중소하천 홍수예.경보 체계구축방안
- 지역사회기반 홍수 위험성 평가 시범적용
- 도시 소유역에서의 침수예측을 위한 플로 노모그래프에 관한 연구
- 동수압을 고려한 원형섬에서의 처오름 해석
- 댐 위험도 분석을 위한 수문학적 위험도 해석 모형 개발
- 방화유리 및 내화유리의 내화성능기준에 관한 평가 연구
- 수목식재 방법을 활용한 토석류 저감 공법 도입을 위한 기초연구
- 수환경내 항생제 내성 방재를 위한 오존 및 염소 소독 비교
- 화산재 피해 동향 및 산업분야 대응 방안 연구
- 유입량 및 합류각 변화에 따른 합류부 수위 및 유속 변화에 관한 연구
- Perfobond rib를 구비한 부분 확공형 마이크로 파일의 지지력에 대한 실험적 평가
- 지진피해로 인한 건축물의 경제적 피해 산정을 위한 지진재해대응시스템 적용방법론 연구
- 국내외 연안역 안전시설물의 비교 연구
- 도시 홍수 방지를 위한 지붕빗물 저장시설의 성상변화 연구
- 잠긴 흐름 발생시 강변저류지 횡월류위어 유량계수 산정
- Noah LSM을 활용한 에너지플럭스 변동성 분석
- 연안역 조립식 보도 잔교 Fish Bone Bridge의 하부 구조의 거동 연구
- HSB800 조밀단면 I-형 거더 비탄성 휨거동의 수치해석 연구
- 나선식 유입구의 바닥경사 변화에 따른 흐름 특성 검토
- Web 2.0 기반의 스마트 항만 시스템에 관한 기초 연구
- 목조 건축물의 내진성능 기초진단을 위한 연구
- 수방시설물의 BIM 모델 구축 방법론 연구
- 기후변화로 인한 IPCC AR5 시나리오를 이용한 기후변화가 도시배수의 미치는 영향분석
- 과부하 맨홀의 수심변화 해석
- 토목구조물 설계를 위한 국내 주요도시의 온도변화 특성에 기초한 지역별 온도변화 특성 분석
- 토양침식량 추정을 위한 전국 빈도별 지속시간별 강우침식능 인자 산정
- Froude수 변화에 따른 횡월류 제방붕괴 수치모의
- 응답스펙트럼해석을 통한 내부 구속 중공 CFT기둥의 지진 응답 평가
- 가상 태풍 시나리오에 따른 GIS기반 해수범람 예상피해 분석
- 플럭스타워 증발산 결측자료의 보충 방법에 관한 연구
- 지진해일 발생을 고려한 해양경찰의 재난대응체계에 관한 연구
- 산림인접지 내 시설물의 인적환경요인으로 인한 산불 위험성 평가 및 지도 제작에 관한 연구
- 유역별 특수상황을 고려한 중소하천 홍수예경보 모형 연구
- 사업장 기기실 출입문의 개.폐조건에 따른 화재경보음 인지정도에 관한 연구
- 건축물 방화문 성능기준 개선에 관한 연구
- 단보강재 보강토의 거동에 대한 수치해석적 연구
- 두 개의 집중 하중을 받는 일축대칭 I형 스텝보의 좌굴강도 실험적 고찰
- 대규모 segment 분할을 통한 상수관망 피해 최소화 기법
- 우레탄 개질 아스팔트 바인더(UMAB) 주재의 저장 안정성 및 점성에 대한 연구
- 원심모형실험을 통한 연약지반에서의 경량콘크리트 포장의 안전성 평가
- 3차원 기반 수방구조물의 정보모델 구축 방법
- 낙동강 권역의 홍수 위험지구 대피체계 분석
- Hec-GeoHMS를 이용한 낙동강유역 중소하천 위험유량 산정 및 한계강우량 산정
- 홍수대비 대책 마련을 위한 기초주민의식조사
- 하상토 입도분포 분석을 통한 하상변화 관측에 관한 기초연구
- 유역특성인자와 집중시간 및 저류상수의 경험식
- 중소하천 표준 DB 구축 및 중소하천 표준 DB 관리시스템 개발
- NFC를 도입한 교량 유지관리 시스템 방법론
- 지진에 의한 건축물 손상으로 인한 경제적 지역손실평가 방법론
- Landsat 적외선 영상을 이용한 백두산의 온도변화: 초기 결과
- 진원깊이에 따른 화산성 지진의 동적 응답특성
- Effects on Human Life of Volcanic Eruptions
- RCP8.5 시나리오를 이용한 안성천 유역의 유출특성 분석
- RCP 8.5 시나리오를 이용한 기후변화 변동성지수의 국내 적용에 따른 지역별 수자원 특성 분석
- 도시망 재난 발생시 신호운영 원칙에 따른 대피 및 우회차량 대피 경로 분석 연구
- 기후변화 영향을 고려한 소양강댐과 충주댐의 미래 용수공급 신뢰도 분석
- 풍력발전시설 운영시 발생음의 주파수 특성분석
- 수중방파제를 위를 지나는 규칙파의 수리적 특성
- 선진 외국의 지진보험 특징, 시사점 및 정책적 제언
- 방재부문 UAV 실용화를 위한 정책적 제언
- 산림 내 주요시설물 주변의 산불위험성 분석
- 방화댐퍼의 연동폐쇄장치 작동시험에 관한 연구
- SWMM 모형 입력인자의 불확실성 분석
- Subtractive 기반 K-mean 클러스터링 기법과 클러스터링 검증지수를 활용한 낙동강 보 지점의 유황 패턴 분석
- 축방향 압축을 받는 폐단면리브 보강판의 국부좌굴강도 변수해석
- 구조물 변위 계측을 위한 GNSS 활용 연구
- 호우, 대설, 강풍에 대하여 종관기압 패턴별로 분석한 강원지역의 기상재해
- Metop위성 ASCAT을 통한 한반도 토양수분 자료 검증
- 동해의 풍파 발달 예보 시스템의 개발
- CGCM3와 RCP에 의한 미래 풍속의 평가
- 장경간 강바닥판 교량용 에폭시 아스팔트 포장 현장 시공 사례
- SWMM 모형을 이용한 주차장 지역에서의 BMPs 수문 및 수질 저감효과 모의
- 스마트무인기 개발 및 실용화 방안
- 연안역 신형식 조립식 잔교 `Fish Bone Bridge` 거더의 정적거동 연구
- 차량 속도-시간 이력을 이용한 고규격 종방향 강성 배리어 설계
- 구형 창호의 내풍 저항성능에 대한 실험적 연구
- 소방공무원 산불 교육훈련 실태 분석에 관한 연구
- GEV 분포함수를 이용한 행정구역별 비정상성 강우빈도해석법의 적용성 검토
- RCP 시나리오를 통한 기후변화 영향 분석
- 저감시설의 설치조건변화에 따른 토석류 유출량 비교
- 지진으로 인한 산사태 발생시 문화재 피해 영향 분석
- 외부흐름이 존재하는 함몰 지형을 통과한 파랑의 반사율 해석
- 경제적인 하수관거 기초 단면 설계를 위한 해석변수별 거동특성 고찰
-
소나무 수관층의 영급별
$CO_2/non-CO_2$ 연소 배출가스 분석 - 빅데이터 시대 새로운 가능성과 전략
- 지능형 CCTV기반 자연환경에 대한 성능저하 방지대책
- 표준강수증발산량지수를 이용한 RCP 8.5 기후변화시나리오 기반의 기후변화가 가뭄발생에 미치는 영향평가
- 태풍에 동반된 강풍에 따른 피해규모 특성 및 피해 분포 특성
- 풍해 위험도 평가를 위한 GIS기반 전산모형 연구
- 화학물질 사고의 재난대응체계 및 관리방안
- 지진해일에 의한 연안구조물 피해사례 분석
- 보 운영조건에 따른 가동보 개구부에서의 흐름 특성분석
- Fuzzy 기법과 PSF-HS를 이용한 상수관망 최적 개량 의사결정
- 수중수제를 활용한 하천 취수부에서의 유사제어 실험 연구
- 백두산 화산의 1654년 강하화산재 이동 기록에 대한 화산학적 고찰
- 선진국의 화생방 교육 훈련기관 및 프로그램 현황 비교
- 화산분화 후 확산 화산재의 항공기 운행 피해요인 분석
- 홍수위 예경보를 위한 Data Mining기법의 연구
- 저수지 준설시 WASP7을 이용한 수질예측
- 영상내 입자수 밀도 변화에 따른 표면영상유속계의 상관영역 크기 결정
- 도심지 교차로 형태에 따른 강풍 특성 분석
- 목조문화재 안전관리 표준화 방안에 대한 의식조사 연구(II)
- 산림 내 시설물 종류별 관리자들의 산불위험성 인식 분석
- 백두산 화산재 확산과 지형고도의 영향에 관한 수치적 연구
- 강우시나리오에 따른 건축문화재 홍수재해위험도 평가
- 시멘트 및 메타카올린 첨가 화산재 혼합토의 동결융해 저항성
- 범람방지시설 유무에 따른 지진해일이 삼척항 지역에 미치는 영향 검토
- 제수밸브 중요도 등급 결정기법의 실제 상수관망 적용 연구
- 광대역 sensor에서 관측된 지진동을 이용한 지반의 동적 증폭특성에 관한 연구
- 홍수시 월류수제에 의한 하상안정화 기법
- 환경적응형 투수성 인공사석 호안구조물 개발
- 그룹화를 통한 수도권지역의 화재조사데이터 변수들에 대한 고찰
-
WRF/HYSPLIT 모델을 이용한 김해지역 고농도
$PM_{10}$ 사례일 분석 - 도시 소유역 내 실시간모니터링 시스템 설계 및 수문예측모형 연계 시스템 구축에 관한 연구
- 공간분포를 고려한 강우관측망 평가
- RapidEye 영상자료를 활용한 산불피해강도분석과 KCBI 비교 평가
- 강원 영동과 영서지역의 산림 연료량 분포 및 산불잠재위험성 평가
- 대표 입경에 따른 합류부 하상변동 특성 연구
- 직렬보의 최적 연계운영 기법 연구
- 지진해일에 의해 발생되는 유사흐름으로 인한 해저지형의 변화 해석
- 방화문으로 사용되는 승강기문에 대한 제도 개선 연구
- 층상망간산화물을 이용한 세슘 흡착
- 고로슬래그를 이용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아치암거의 성능평가에 관한 연구
- USN 지능형 수중환경관리 시스템 구축에 관한 기초 연구
- V-hub 사례분석과 한국 화산연구포털 적용가능성 연구
- SNS를 활용한 지하철 유고정보 구축
- 토지이용별 강우시 유출 퇴적물의 물리화학적 특성 및 관리방안 도출
- 지상 LiDAR를 이용한 하구부 지형변화 분석
- 건조지역 유목의 생존을 위한 소형 지하저류조의 효과 분석
- 3차원 BIM 기술을 활용한 수방시설의 능동형 재난관리체계 구축
- 나노-시멘트 보강토의 거동에 대한 실험적 연구
- 백두산 화산분화에 의한 화산이류 범람지역 예측 연구
- LOD 기반의 화산재 확산 모델 가시화
- 대국민 재난방송 활성화 방안 연구
- 화산재 및 유사 상황 (황사 등)으로 인한 건강 영향
- 택지내 분산형 저류지 시스템의 첨두유출 저감효과와 수리특성
- Shock모델을 통한 성형작약탄의 순간화재발생에 관한 연구
-
$Vflo^{TM}$ 모형과 HEC-HMS모형을 이용한 강우레이더 종류에 따른 강우-유출모의 - GIS기반의 재난관리용 CCTV 설치 적정성 평가방안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