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미국의 광역경제권과 생활권 -한국의 광역경제권 및 농촌지역 생활권구축에 대한 함의-
이용수 58
- 영문명
- Implications of the US Metropolitan Economic Zone on the Association of Rural Living Area and Metropolitan Economic Zone in Korea
- 발행기관
- 한국농촌지도학회
- 저자명
- 이성우(Seong Woo Lee) 김현중(Hyun Joong Kim)
- 간행물 정보
- 『농촌지도와 개발』17권 4호, 799~825쪽, 전체 27쪽
- 주제분류
- 농수해양 > 기타농수해양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0.12.30
6,0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is to provide policy implications for successful development of the metropolitan economic zone in Korea followed by in-depth case studies on the US Metropolitan Economic Region. This study looked into diverse experiences of the US mega regions investigating their key strategies, requirements and standards, etc. Urban areas in the US are designated based on CBSA, a standard for statistical area since 1950. The US has a clear standard to define rural and suburban area and is trying to reflect urban structural changes including suburbanization. The US annexation system is relatively simple to operate. Furthermore, the system helps the growth of rural areas by gradually incorporating rural areas into urban areas. We found that action plans of the US mega regions facilitate strategic growth and development for balanced territorial development, incorporating multi-dimensional and comprehensive approaches. We also found that the US mega regions are designated with regard to the local natures. Couple of policy implications were extracted from the US experiences. First, since the construction of mega regions in Korea concerns less on the inter-regional connections with other regions, we need to incorporate diverse standards to divide the regions with respect to the spatial and local characteristics. Second, local governments should collaborate with each other for successful economic development of the metropolitan economic zones. Administrative districts renovation can be a immediate and effective solution to facilitate the collaboration. We recommended to consider consolidating administrative areas to construct successful metropolitan economic zones.
목차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농촌 주민의 생활환경 및 사회서비스 만족도
- 농촌 과소화 실태와 전망
- 미국, 일본, 네덜란드의 농업연구와 지도체계 고찰
- 양돈농가의 정보시스템 사용 효과 분석
- 이미지를 활용한 지역브랜드 개발
- 여성 결혼이민자의 가족관계가 삶의 만족에 미치는 영향
- 청보리 보급 확대를 위한 채종단지 실태 조사 및 컨설팅
- 농촌체험 마을경관의 보전가치평가 연구
- 농촌체험관광 활성화를 위한 체험지구 기본계획 수립 -충남 금산군 부리면 어재리 금강 농바우마을을 중심으로-
- 농촌어메니티 환경설계 공모전을 통한 어메니티자원활용 및 마을계획에 관한 연구
- 농촌노인의 일상생활수행능력과 우울감, 자아존중감 및 사회활동 참여가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경기도 여주를 중심으로-
- 귀농,귀촌의 현황과 정책과제
- 미국의 광역경제권과 생활권 -한국의 광역경제권 및 농촌지역 생활권구축에 대한 함의-
참고문헌
관련논문
농수해양 > 기타농수해양분야 BEST
- 국내 커피전문점의 성공사례 분석
- 소셜 미디어 빅데이터를 활용한 한국인의 K푸드 트렌드 분석
- 유아교사의 다문화교육 참여 경험이 교사-다문화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다문화 교수효능감의 매개효과
농수해양 > 기타농수해양분야 NEW
- 교사의 놀이지원역량이 유아의 주도성에 미치는 영향: 유아의 놀이몰입의 매개효과
- 교사행복감과 교사-유아 상호작용의 관계: 교수몰입과 교수창의성의 순차적 이중매개효과
- 국내 아동 정서행동문제 상담 연구에서 중재 충실도 적용 현황 및 과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