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멀티미디어 교육자료가 학습효과에 미친 영향에 관한 연구 -「농업기초기술」교과의 에듀넷 멀티미디어 교육자료를 중심으로-
이용수 125
- 영문명
- A Study on Analyzing the Learning Effectiveness of Multi-media -Focusing on Basic Agricultural Technology Course in High School-
- 발행기관
- 한국농촌지도학회
- 저자명
- 김수욱(Su Wook Kim) 유병민(Byeong Min Yu) 오재연(Jae Yeon Oh) 남민우(Min Woo Nam)
- 간행물 정보
- 『농촌지도와 개발』17권 1호, 75~101쪽, 전체 27쪽
- 주제분류
- 농수해양 > 기타농수해양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0.03.30
6,0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is study tried to analyze the learning effectiveness of multi-media based class by comparing with traditional classroom method. The “Basic Agricultural Technology” course that is one of the required courses of agricultural high school was selected and its contents were digitalized on MS Powerpoint for multi-media based class. The thirty students were sampled for each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The homogeneity and learning achievement of sample groups were tested for experiment. Same teacher took the classes of two groups and delivered same contents of course. Only difference between two groups was the delivery method, one is traditional classroom teaching method and the other was the multi-media based class. The learning achievements and satisfaction of sample were post-tested in order to analyze the learning effectiveness by comparing two teaching methods. The results showed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 in learning achievement after ANCOVA controlled pre-test as covariance(F=5.08, p<.05). It means that the learning achievement of multi-media based class was higher than that of traditional classroom group. The results also showed that a significant difference in students` satisfaction between two groups (t=5.57, p<.001). This study concluded that using multi-media in class could produce more learning achievements and satisfaction of students than traditional classroom method.
목차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농수해양 > 기타농수해양분야 BEST
- 국내 커피전문점의 성공사례 분석
- 소셜 미디어 빅데이터를 활용한 한국인의 K푸드 트렌드 분석
- 유아교사의 다문화교육 참여 경험이 교사-다문화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다문화 교수효능감의 매개효과
농수해양 > 기타농수해양분야 NEW
- 교사의 놀이지원역량이 유아의 주도성에 미치는 영향: 유아의 놀이몰입의 매개효과
- 교사행복감과 교사-유아 상호작용의 관계: 교수몰입과 교수창의성의 순차적 이중매개효과
- 국내 아동 정서행동문제 상담 연구에서 중재 충실도 적용 현황 및 과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