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불안정한 지지면에서 실시한 요부안정화 운동이 척추측만증 여학생의 흉추가동성, 복횡근의 두께, 요부근력의 변화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598
- 영문명
- The Effect of Unstable Surface Lumbar Stabilization Exercises on Thoracic Mobility, Thickness Transverse Abdominis and Lumbar Muscular Strength in Young Females with Scoliosis
- 발행기관
- 대한치료과학회
- 저자명
- 모민상 정호발 우지혜 고태성4
- 간행물 정보
- 『대한치료과학회지』Vol. 6, No. 2, 16~28쪽, 전체 13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재활의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4.12.01
4,3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effect of the unstable surface lumbar stabilization exercise on Thoracic Mobility, Thickness of Transverse Abdominis and Lumbar muscular Strength in young females with Scoliosis.
Method: The stable/unstable surface lumbar stabilization exercise was performed by 30 young females with Scoliosis in H polyclinic. The subjects were randomly organized into a study group (15) and control group (15). The exercises were conducted for 40 minutes, 3 times a week (total; 24 times for 8 weeks).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coliosis, Thoracic mobility, Thickness Transverse Abdominis and Lumbar Muscular Strength were measured before the training and at 4 weeks and 8 weeks after the intervention. Comparison of the time dependent variable for each group was Calculated by a one way repeated ANOVA. Comparison between the two groups was Calculated by an ANCOVA.
Resul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Thoracic Mobility, Thickness Transverse Abdominis and Lumbar Muscular Strength(p<.05). Similarly in the inter-group analysis, significant differences(p<.05) occurred.
Conclusion: In this study, we demonstrated that unstable surface lumbar stabilization exercises are an effective therapy for Thoracic Mobility, Thickness of Transverse Abdominis and Lumbar Muscular Strength in scoliosis.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결과
Ⅳ. 고찰
Ⅴ. 결 론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다화자 잡음이 인공와우 이식 아동의 어음 인지와 종성 오류에 미치는 영향
- 불안정한 지지면에서 실시한 요부안정화 운동이 척추측만증 여학생의 흉추가동성, 복횡근의 두께, 요부근력의 변화에 미치는 영향
- 인두통과시간을 이용한 침습과 흡인의 예측 : 신경망 네트워크와 ROC curve를 중심으로
- 음성재활 방법에 따른 후두적출자의 말속도
- 일반인 대상으로 우세한 쪽과 비우세한 쪽 상지의 사용이 선 자세의 동적 균형 능력에 미치는 영향
- 체중 이동훈련이 만성뇌졸중 환자의 균형에 미치는 영향
- 윗등뼈 도수치료가 전방머리자세를 지닌 만성 여성 목통증 환자에게 미치는 영향
- 동작관찰훈련이 만성 뇌졸중 환자의 상지기능과 일상생활수준에 미치는 영향
참고문헌
관련논문
의약학 > 재활의학분야 BEST
- 중증정신질환자가 이용하는 지역사회 정신건강서비스에 대한 체계적 고찰
- 대학생의 소셜 미디어에 대한 과도한 이용과 중독이 수면의 질에 미치는 영향
- 인지행동치료가 조현병 환자의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체계적 고찰
의약학 > 재활의학분야 NEW
- Electrophototherapeutic Resources Associated or Not With Exercise and Dosimetry Used in Subacromial Impingement Syndrome: A Scoping Review
- Comparison of Gluteus Medius and Quadratus Lumborum Muscle Activity During Hip Abduction Exercises in Individuals With Gluteus Medius Weakness
- Influence of Improvement in Respiratory Muscle Strength on Recovery of Balance and Gait Ability in Patients With Stroke: A Prospective Observational Study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