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발행기관
- 영상영어교육학회
- 저자명
- Rosa Jinyoung Shim
- 간행물 정보
- 『STEM Journal』2권 2호, 129~154쪽, 전체 25쪽
- 주제분류
- 어문학 > 영어와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1.12.30
5,8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is paper builds on a previous paper by Shim and Baik (1997), which discusses the reasons and methods for the use of movies in an EFL classroom. The basic rationale for using movies to teach English as a foreign language provided in the paper was that movies provide the type of teaching material that easily allows the teacher to implement CLT in the classroom. However, a recent survey (You, 2000) shows that the majority of the classes that use movies as teaching material do not seem to reflect the theoretical or methodological principles of CLT. This paper discusses some of the ways that movies are currently being used in the classroom in Korea in an attempt to evaluate them in light of the CLT approach.
목차
Abstract
Ⅰ. Introduction
Ⅱ. The Ultimate Goal and Principles of CLT
Ⅲ. How Movies are Used in EFL Classes in Korea
Ⅳ. Overcoming Obstacles for CLT
Ⅴ. Conclusion
Bibliography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사랑의 추구자
- Intercultural Communication through Movies: Cultural Analysis Using "The Matrix"
- Mary Rowlandson's Captivity Narrative: An Appropriation to the Public Sphere
- 상징적 질서의 거부
- 초등 영어 교과와 타 교과의 주제중심 통합지도가 영어 말하기 능력 신장에 미치는 효과
- Teaching English through Movies: How to Do It the Communicative Way
- 음성다중 영화가 학생들의 영어 청해에 미치는 영향
- Phonics와 Story-Telling이 초등학생의 읽기능력 향상에 미치는 효과
- 디즈니 만화영화를 통한 영어학습과 사회적 편견의 형성
참고문헌
관련논문
어문학 > 영어와문학분야 BEST
더보기어문학 > 영어와문학분야 NEW
- AI 기반 언어 학습에서 개인차가 긍정적 정의적 요인에 미치는 영향: 동기적 자아 체계, 그릿, 즐거움을 중심으로
- 생성형 AI를 활용한 영어 콘텐츠 개발 아이디어톤 설계 및 실행연구: 퀘스트 기반 학습을 중심으로
- Language Style Awareness Through Film Dialogue: Pedagogical Implications for EFL Learners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