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상호작용공정성, 조직구성원들의 혁신행동, 조직비전 인식과의 관계

이용수  407

영문명
The Effect of Interactional Justice on Innovative Behavior -The Moderate Role of Perceived Organizational Vision-
발행기관
한국인적자원관리학회
저자명
조윤형(Cho Yoon Hyung)
간행물 정보
『인적자원관리연구』제21권 제4호, 131~152쪽, 전체 21쪽
주제분류
경제경영 > 경영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4.11.30
5,3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상호작용공정성이 조직구성원들의 혁신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이들 사이의 관계에서 조직비전 인식의 조절효과를 검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상호작용공정성은 중요한 연구주제로서 상호작용공정성의 영향력과 상호작용공정성이 어떠한 상황적 조건에서 의미가 있는 지를 밝히는 것은 무척 중요하다. 상호작용공정성은 Colquitt(2001), Colquitt & Rodell(2011) 등의 연구를 기반으로 하여 대인관계공정성과 정보적공정성으로 구분하였다. 연구가설의 설정은 주효과 가설과 조절효과 가설로 설정하였다.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상호작용공정성 중 정보적공정성은 혁신행동을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대인관계공정성은 유의미한 영향력이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조직비전 인식은 혁신행동을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조직비전 인식은 대인관계공정성이 혁신행동에 미치는 영향력에 있어서 조절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과적으로 정보적공정성은 조직구성원들의 혁신행동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나 혁신행동의 중요한 선행변수임을 알 수 있었다. 더불어 조직비전 인식이 높은 경우에는 조직비전 인식이 낮은 경우에 비해 대인관계공정성이 높을수록 더욱 혁신행동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국 조직비전이 명료하며 이를 조직구성원들이 잘 공유하고 있다고 인식할수록 대인관계공정성의 긍정적 영향력은 더욱 확대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상호작용공정성이 혁신행동에 중요한 선행변수라는 것을 규명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조직비전 인식의 역할을 살펴봄으로써 조직비전을 조직구성원들에게 공유시키고 명료하게 제시하는 것이 대인관계공정성을 통해 조직구성원들의 혁신행동을 이끌어 낸다는 것을 규명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interactional justice and employees' innovative behavior, also verify the moderating role of perceived organizational vision those of variables. based on the Colquitt(2001), organizational justice consists of distributive, procedural, interactional(interpersonal and informational) justice. focus on interactional justice, formulate direct effect hypothesis and moderating effect hypothesis. to test hypotheses, survey method are performed. total 282 questionnaires are used for analysi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nformational justice have positive impact on employees' innovative behavior however, interpersonal justice have not significant impact on employees' innovative behavior. second, perceived organizational vision have positive impact on employees' innovative behavior. third, perceived organizational vision have moderating role of relationship between interpersonal justice and employees' innovative behavior. Based on the results, informational justice is important determinant variable for leading to employees' innovative behavior, also perceived organizational vision amplifies to enhance employees' innovative behavior. finally if high on perceived organizational vision, employees feel that vision has been fully articulated and shared, then vision will be likely more motivated to engage in employees' innovative activities for interpersonal justice that coincide with the visionary direction. it means company emphasis on communicating and building consensus about the vision will be necessary condition of interpersonal justice to increase employees' innovative behavior.

목차

국문초록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과 연구가설
Ⅲ. 연구방법
Ⅳ. 실증분석 결과
Ⅴ.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조윤형(Cho Yoon Hyung). (2014).상호작용공정성, 조직구성원들의 혁신행동, 조직비전 인식과의 관계. 인적자원관리연구, 21 (4), 131-152

MLA

조윤형(Cho Yoon Hyung). "상호작용공정성, 조직구성원들의 혁신행동, 조직비전 인식과의 관계." 인적자원관리연구, 21.4(2014): 131-15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