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한글 대하소설 속 여성 그림 활동의 특징과 문화적 배경

이용수  107

영문명
A Study of Women's painting in Joseon's roman fleuves
발행기관
한국고전여성문학회
저자명
서정민(Seo Jung Min)
간행물 정보
『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제25권, 311~334쪽, 전체 24쪽
주제분류
인문학 > 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2.12.31
5,6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논문은 한글 대하소설 속에 그려진 여성의 일상 가운데 그림 활동에 주목하였다. 일반적으로 조선에서 여성의 그림 활동은 여성에게 권장되던 것이 아니었다. 그래서 신사임당 같은 여성 화가는 예외적인 존재로 여겨진다. 그러나 조선 후기 상층 여성들을 주된 독자층으로 삼았던 대하소설에서 형상화한 그림 그리는 여성은 그같은 여성화가의 존재가 예외적이거나 돌출적이기만 한 것은 아님을 보여준다. <소현성록>과 <유이양문록>을 통해 드러나는 여성의 그림 활동은 그것이 여성의 소임이 아니라는 당대 통념적 인식을 전제하면서도 일상 속에서 마주치는 사건의 기록으로서 그림을 그렸다는 특징이 포착된다. 그리고 이러한 그림 활동은 객관적 사실의 기록 이상으로 나아가 여성의 내면을 드러내는 한 통로가 되었고, 이는 마침내 여성이 외적 조건의 불리나 고난 속에서도 자신을 지킬 수 있는 저력의 바탕이 되었다는 것을 보여준다. 대하소설이 이처럼 그림 활동에 적극적인 여성을 형상화할 수 있었던 배경에는 조선 후기 사대부가에서 이어져온 사가기록화(私家記錄畵) 문화가 자리하고 있었다. 출사, 승직, 생일 같은 집안의 경사를 기념하기 위해 그려진 사가기록화는 가문의 위세를 대내외적으로 강화하는 데 이용되면서 후대까지 지속되었다. 이러한 문화적 흐름 속에서 상층 사대부가 여성들 역시 기록화적 그림에 대한 체험과 관심을 가질 기회를 얻을 수 있었을 것이다. 한편 <유이양문록>은 여성의 그림 관련 서술에 있어서 중국소설 <오색석>의 삽화를 활용한 것으로 보인다. 이는 대하소설의 창작과 관련하여 중국소설의 삽화가 그 서술의 구상성을 제고하는 데 활용되고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라는 점에서 주목되는 지점이다.

영문 초록

This study takes note of Women's painting in Joseon's roman fleuves. Generally they didn't think that women were involved in painting in Joseon dynasty. So We consider Shin Saimdang as unusual woman painter. But women painters who made an appearance in Joseon's roman fleuves attest to a fact that she was unexceptional. Women artists in Sohyunsungrok(소현성록), Uiyangminrok(유이양문록) painted their daily incidents with a view to recording them. Gradually they represented their inner world by painting. At last they obtained a power of self-protection against adversity. These characters have a historical, cultural background. A documentary painting culture that the nobility used with a view to showing off their family continued during the late Joseon dynasty. In this currents, women who read roman fleuves voraciously might be concerned with painting. Meanwhile, the illustration of Osaksuk(오색석), it's the chinese nover, was transcribed into the woman's painting description in Uiyangminrok(유이양문록). It is remarkable that the Uiyangminrok(유이양문록)'s writer improved the description's concreteness by the application of chinese nover's illustration.

목차

<국문초록>
1. 서론
2. 삶의 기록으로서 그림
3. 사가기록화(私家記錄畵) 문화와 대하소설
4.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서정민(Seo Jung Min). (2012).한글 대하소설 속 여성 그림 활동의 특징과 문화적 배경. 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 25 , 311-334

MLA

서정민(Seo Jung Min). "한글 대하소설 속 여성 그림 활동의 특징과 문화적 배경." 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 25.(2012): 311-33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