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Comparison of the Short-term Effects of Jjimjilbang Therapy and Infrared Therapy on Pain Scale of Patients with Knee Osteoarthritis
- 발행기관
- 대한임상노인학회
- 저자명
- 김영진(Young-Gene Kim), 김재덕(Jae-Deok Kim), 김태곤(Tai-Kon Kim), 이규훈(Kyu-Hoon Lee), 한승훈(Seung-Hoon Han), 최정화(Jeong-Wha Choi), 김미정(Mi Jung Kim)
- 간행물 정보
- 『대한임상노인학회지』대한임상노인의학회지 제7권 제4호, 419~425쪽, 전체 6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기타의약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6.12.31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연구배경: 최근 우리나라에 널리 보급되고 있는 찜질방 시설의 온도는 거의 대부분 체온보다 매우 높은 고온으로 설정되어 있으나, 적정 온도 및 그에 따른 이용 시간에 대한 과학적인 연구가 없이 경험적으로만 사용되고 있는 형편으로 그동안 적지 않은 부작용의 발생 예가 있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찜질방이 활력 징후 및 혈액 검사 소견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대표적인 만성 근골격계질환 중 하나라고 할 수 있는 퇴행성 슬관절염 환자들을 대상으로 찜질방과 기존의 국소 온열 치료 중 하나인 적외선 치료를 시행하여 그 효과를 비교하고자 하였다.
방법: 퇴행성 슬관절염으로 진단 받은 여자 환자 14명을 무작위로 7명씩 가, 나군으로 나누어 가군은 찜질방 치료를 5일간 시행한 후 2주간의 휴식기를 갖고 역시 5일간 적외선 치료를 하였고, 나군은 순서를 바꾸어 먼저 적외선 치료를 시행한 후 2주간의 휴식기를 갖고 찜질방 치료를 하였다. 찜질방 치료는 온도가 72±2℃로, 습도가 45±2%로 유지되는 찜질방에 10분간 입실 후, 상온(25±1℃)에서 10분간 휴식하는 것을 연속으로 3회 반복 시행하였다. 치료 전후의 슬관절 표면 온도를 매일 측정하였고, 5일간의 치료가 끝난 후에는 통증시각상사척도와 WOMAC (Western Ontario and MacMaster Universities Osteoarthritis) 점수 및 Lequesne 점수를 측정, 비교하였다. 또한 5일간의 찜질방 치료기간동안 매일 찜질방 출입 전후의 활력 징후, 혈당, 말초혈액 산소 포화도를 측정하였고, 5일간의 찜질방 치료가 끝난 후에는 전혈 및 전해질 검사를 시행하여 비교하였다.
결과: 슬관절 표면 온도는 찜질방과 적외선 치료 후 모두 유의하게 증가하였고, VAS, WOMAC 점수 및 Lequesne 점수는 찜질방과 적외선에 5일간 노출된 후 모두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며 두 가지 치료방법에 따른 VAS, WOMAC 점수 및 Lequesne 점수 감소의 차이는 없었다. 찜질방 치료 기간 중에 매일 측정한 활력 징후, 산소포화도 및 혈당은 모두 정상 범위로 유지되었으며, 5일후 측정한 전혈 및 전해질 검사 역시 치료 전과 비교하여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결론: 퇴행성 슬관절염 환자를 대상으로 찜질방 치료와 적외선 치료의 효과를 비교한 결과 두 치료방법 모두에서 유의한 통증 감소와 기능 개선이 있었다. 따라서 찜질방 치료는 퇴행성 슬관절염 환자의 통증 완화에 유용한 부가적인 방법으로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
영문 초록
Background: To compare the short-term effects of Jjimjilbang (dry sauna) therapy and infrared therapy on pain scale of patients with knee osteoarthritis.
Methods: 14 women older than 40 years were included in the study. All had knee osteoarthritis, and none had contraindications to Jjimjilbang therapy. They were all℃ated into two groups of 7 patients each. The first group underwent a Jjimjilbang therapy for 5 days, and after 2 weeks' wash-out period, they received infrared therapy for 5 days. The second group first underwent infrared therapy, and after wash-out period, received Jjimjilbang therapy. The results were evaluated with visual analogue scale, WOMAC (Western Ontario and MacMaster Universities Osteoarthritis) index and Lequesne's index.
Results: Visual analogue scale, WOMAC and Lequesne's index showed that pain was significantly reduced by Jjimjilbang therapy and infrared therapy (P<0.05). An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wo therapies.
Conclusion: Jjimjilbang therapy can reduce the pain of patients suffering from knee osteoarthritis.
목차
Abstract
서론
방법
결과
고찰
참고문헌
국문요약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의약학 > 기타의약학분야 BEST
더보기의약학 > 기타의약학분야 NEW
- Long-term Chemotherapy Management in a Small-breed Dog with Intracranial Invasive Nasal Carcinoma: A Case Report
- 고양이 연부조직육종 증례보고
- 동물보건사 제도에 대한 충남지역 수의사의 인식 분석 및 제도 개선 방안 연구: TOE 프레임워크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