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Reexamining Textbooks as a Gender Text in Elementary Practical Arts Textbooks

이용수  160

영문명
초등학교 5-6학년 실과교과서 화보에 나타난 성역할 고정관념 분석
발행기관
연세대학교 교육연구소
저자명
정진주(Pearl Jinjoo Chung)
간행물 정보
『미래교육학연구』미래교육연구 제27권 제1호, 37~54쪽, 전체 17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4.06.30
4,8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초등학교 5-6학년 실과교과서에 나타난 성역할 고정관념을 살펴보기 위해, 실과 교과서에서 사용하는 화보를 분석하고 그 안에 내재된 성역할 고정관념의 의미를 알아보고자 했다. 이를 위해, 첫째, 실과교과서의 화보를 분석하여 다양한 그림과 사진이 묘사하고 있는 성역할 고정관념을 분석하고, 둘째, 직업과 관련된 화보를 점검하고 성역할 고정관념이 어떻게 드러나는지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남성과 여성의 화보 출현비율은 비슷했으나, 남자는 남성다움을 드러나거나 활발한 운동을 하는 것으로 표현되었고, 또한 집안의 경제원을 갖고 있는 회사원으로 묘사되었다. 반면, 여자는 애정을 주는 부모의 역할로 표현되거나 여자 아이들은 자신의 외모에 신경 쓰는 것으로 묘사되었다. 따라서 앞으로 남녀 성역할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가사활동 및 학교활동에 평등하고 균형적인 남녀 화보가 제시될 필요가 있다. 또한, 실과교과서는 학생들에게 다양한 직업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고 있으나, 남성이 공학이나 의사 등 전문적인 직업을 갖고 있는 것으로 나타난 반면 여성은 패션과 관련된 직업이 가장 많이 출현된 것으로 분석되었다. 따라서 사회활동 및 직업적인 영역에서도 남녀 화보를 결정하는데 있어 더 깊은 고려할 필요가 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investigate representations of gender stereotypes in 5th and 6th grade Practical Arts textbooks used in Korea, and identify undergirded conceptions that influence students’ formation of gender roles. For this research, 5th and 6th grade Practical Arts textbooks from Gyo-hak-sa and Chun-jae Education, a total of 4 textbooks are examined in the following areas: 1) frequency of male and female depictions in textbooks, 2) portrayal of gender stereotypes in illustrations, and 3) gender stereotypes depicted in vocations. From this research, the following conclusions are made. First, the number of male and female illustrations are almost identical. However, more males are represented as masculine and active who financially support a family while females are portrayed as care-providers and nurturers. Second, more males are projected to have higher status jobs in the fields of engineering and medicine whereas more females are illustrated in fashion and beauty related fields. As a result, a balanced delineation as well as careful selections of male and female illustrations are necessary to enhance students' understanding of gender roles, identity, and gender equity in the future.

목차

Abstract
Ⅰ. Introduction
Ⅱ. Background
Ⅲ. Method
Ⅳ. Findings
Ⅴ. Conclusion and Future Implications
References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정진주(Pearl Jinjoo Chung). (2014).Reexamining Textbooks as a Gender Text in Elementary Practical Arts Textbooks. 미래교육학연구, 27 (1), 37-54

MLA

정진주(Pearl Jinjoo Chung). "Reexamining Textbooks as a Gender Text in Elementary Practical Arts Textbooks." 미래교육학연구, 27.1(2014): 37-5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