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Source And Identity Supporting The Theory of Materiality of Tri-Energizer in Nei Jing
- 발행기관
- 대한한의학원전학회
- 저자명
- 윤창열(Yoon Chang-yeol)
- 간행물 정보
- 『대한한의학원전학회지』25권 4호, 57~63쪽, 전체 6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한의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2.11.25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Objective & Method : We investigated the identity of tri-energizer, which was originally described in Huang Di Nei Jing and claimed by traditional scholars, and drew the following conclusions.
Result & Conclusion : According to Huang Di Nei Jing tri-energizer is one of the six hollow-organs and is called hollow organs for digestion and elimination, water guffer organ, or solitary hollow organ. It is believed that tri-energizer is regarded as the existing entity based on following several different sources; it functions as the course of channels, regulates wind and link and physiological function-especially intrinsic function of upper, middle, lower internal organs. It also controls syndromes and dysfunction of an illness, the surface of the body, and the cracked surface of the skin. Finally, bold and timidity depend on the tri-energizer. Experts determined the true nature of tri-energizer types. Experts include: Yu Tuan from the Ming dynasty, Tang Jong Hai and Ye Lin from the Qing dynasty, and Zhang Xi Chun from the Zhunghua Minguo period. These experts’ claims are based on shape and forms of tri-energizer. Our examinations of anatomical and physiological basis on tri-energizers showed that, in a narrow sense, tri-energizer indicates visceral and parietal peritoneum and omentum surrounding the internal organs, and in a broad sense, indicates the overall membrane wrapping around the whole internal organs including five visceral organs and six hollow organs.
목차
Abstract
1. 緖論
2. 『內經』에 나타난三焦有形의 八大根據
3. 三焦의 實體를 밝힌 歷代醫家
4. 해부학적으로 살펴본 삼초
5. 結論
參考文獻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의약학 > 한의학분야 BEST
- 제왕절개 수술이 신생아의 건강에 미치는 영향 - 장내 미생물을 중심으로
- 소아 화폐상 습진의 임상 특성과 통합적 치료 접근에 대한 고찰
- 영아 야제의 다빈도 한의 변증, 임상 증상 및 한의치료 분석 - 최근 5개년(2019-2024) 중의학 연구를 중심으로
의약학 > 한의학분야 NEW
- 대한한의학원전학회지 38권 3호 목차
- 朝鮮에서 現代까지 韓醫學 敎育 變遷에 대한 역사적 의미 고찰과 전망: 原典 교육을 중심으로
- 한문의서의 한글번역 연구 - 더 나은 번역을 위한 對譯語 선정에 대하여 『온열론』을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