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현대적 이야기판에서 설화 연행의 한 양상

이용수  574

영문명
A Performance Study in Modern Storytelling Stages -Focusing on Voices, Expressions, Gestures and Audiences-
발행기관
한국고전연구학회
저자명
류정월(Ryu, Jeong-wol)
간행물 정보
『한국고전연구(韓國古典硏究)』제29권, 469~512쪽, 전체 43쪽
주제분류
인문학 > 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4.06.30
7,9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고는 지역의 도서관에서 이루어지는 현대적 이야기판을 대상으로, 연행의 제반 요소 가운데 지금까지 그 연구가 간과되었던 음성, 표정, 동작, 청중과 그 상관관계에 대해 연구하고자 한다. 의도적으로 만들어진 현대적 이야기판의 구연은 정형성이 높고 패턴화 되는 경향이 있기에, 연행을 구성하는 이런 비언어적 요소들을 확인하는 데 있어 전통적 이야기판보다는 수월한 지점이 있다. 먼저 본고는 송파 어린이 도서관의 화자들을 대상으로, 이들의 음성, 표정, 동작 등이 어떤 양상을 보이는가 살펴보았다. 이는 무대 앞면에서 보이는 요소인데 크게는 이야기 세계를 형상화하기 위한 것, 즉 이야기 세계에 속하는 것과, 이야기를 하고 있는 화자의 심리나 필요에서 기인하는 것, 즉 담화 세계에 속하는 것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이야기 세계에 속하는 음성, 표정, 동작이 강화되면 이 구연은 지시적referential이며 연극적인 것이 될 가능성이 높다. 반면 담화 세계에 속하는 음성, 표정, 동작이 강화되면 이 구연은 교감적phatic이며 상대적으로 자연스러운 것이 된다. 이 도서관 대부분의 화자들은 연극적 음성ㆍ표정의 사용을 제한하는 경향이 있는 반면, 친교적ㆎ교감적 음성과 표정의 사용에 있어서는 자유로웠다. 이런 화자의 경향성에 대한 파악은 비언어적 측면을 연구함으로써 도달할 수 있는 것으로, 언어적 측면에 대한 연구만으로는 획득할 수 없는 지점이기도 하다. 또 다른 한편 도서관의 연행은 구술되지만, 역설적이기도 기술된 이야기 세계를 중시한다. 많은 화자들은 도서관에 있는 동화책을 빌려가서 읽으면서 연행을 준비한다. 화자들은 전래동화로 읽은 것을 잊지 않고 구연하는 데 가장 중심을 둔다. 이들은 이야기를 음성, 표정, 동작을 통해 자연스럽게, 연극적이지 않게 전달하는 것이다. 현대적 이야기판의 한 장소인 이 어린이 도서관에서 진행되는 연행은 자연스러운 "기술(技術)의 기술성(記述性)"을 특징으로 한다.

영문 초록

This paper studies the Korean traditional children's stories which are performed by members of a volunteer organization. These performances have two levels. One consists of verbal factors and the other nonverbal factors. Most of communication studies and performance studies focus on the verbal factors but this paper focuses on the other factors, voices, expressions, actions of storytellers and audiences. The analysis of the performances has to consider not only verbal art but also non-verbal art. There are a lot of modern stages to tell folktales, of the performances is a library for children in Seoul. There are several volunteer organiza tions. Doggaebigamto[도깨비감투] is one of them. They tell Korean traditio nal children's stories. I research their voices, expressions, and gestures of storytellers and audiences, using a Jengganbo[井間譜], a Korean tradi tional music score. Goffman is known for stage metaphor to convey his thoughts about social interactions. According to Goffman, I divided the "front", the stage for storytelling and "backstage", the space for practice and rehearsal. On the front, storytellers tend to limit their dramatic voices and expressions but they make gestures more freely. On the backstage, they rank their ability to communicate. I can observe their ranking by determinating parts for Kamisiby(かみ-しばい [紙芝居]), the old Japan drama. They highly appreciate the ability to communicate continuously. They tend to orient a phatic performance rather than a referential performance. In the storytelling performances, the performan ce skill is important. The skill is relative with literacy. So I call the performance in the library for children literacy of the skill.

목차

<국문초록>
1. 서론: 현대적 이야기판
2. 어린이 도서관 이야기판
3. 설화 연행의 양상
4. 능력의 서열화와 고안된 자연스러움
5. 기술(技術)의 기술성(記述性)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류정월(Ryu, Jeong-wol). (2014).현대적 이야기판에서 설화 연행의 한 양상. 한국고전연구(韓國古典硏究), 29 , 469-512

MLA

류정월(Ryu, Jeong-wol). "현대적 이야기판에서 설화 연행의 한 양상." 한국고전연구(韓國古典硏究), 29.(2014): 469-51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