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Study On Compositions, Dosages and Usages of Sagunjatang, Samultang, Palmultang, Sipjeondaebotang in Literature
- 발행기관
- 대한한의학원전학회
- 저자명
- 이경구(Kyung-Goo Lee) 황대선(Dae-Sun Huang) 유영법(Young-Beob Yu) 마진열(Jin-Yeul Ma) 하혜경(Hye-Kyeong Ha) 신현규(Hyeun-Kyoo Shin)
- 간행물 정보
- 『대한한의학원전학회지』19권 4호, 219~225쪽, 전체 6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한의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6.11.30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e result is the followings after investigating composition, dosage and usage of Sagunjatang(四君子湯), Samultang(四物湯), Palmultang(八物湯), Sipjeondaebotang(十全大補湯) in literature by country and Era
1. Sagunjatang has become equal to Panax ginseng(人蔘), Atractylodes japonica(白朮), Poria cocos(복령) each for 2 Jeon(錢), Glycyrrhiza uralensis(甘草) 1 Jeon since the Ming Dynasty in China and it is standardized by Panax ginseng, Atractylodes japonica, Poria cocos and Glycyrrhiza uralensis each for 1 Jeon 2 Pun(分) 5 Ri(里) since Dongeuibogam in Korea
2. Samultang has become equal to Angelica gigas(當歸) and Rehmannia glutinosa(地黃) each three Jeon, Cnidium officinale(川芎) is 1 Jeon 2 Pun or 1 Jeon and Paeonia lactiflora(芍藥) 2 Jeon since the Ming Dynasty in China and it is standardized by Angelica gigas, Cnidium officinale, Paeonia lactiflora and Rehmannia glutinosa each for 1 Jeon 2 Pun 5 Ri since Dongeuibogam in Korea
3. In the case of Palmultang, compositional usage of medicine was different in the Ming Dynastry and the Ching(靑) Dynastry in China. Total dosage was increased and ratio of Angelica gigas and Rehmannia glutinosa was increased comparatively in the Ching Dynasty. All prescription of medicine was consisted of 1 Jeon 2 Pun and specific dosage was presented except Euirimchwalyo(醫林撮要) that dosage was not recorded in Korea
4. Sipjeondaebotang tended to increase total dosage in the latter part in China. Dosage was mostly used 1 Jeon thus Dongeuibogam but Bangyakhap(方藥合編) used 1 Jeon 5 Pun differentially
목차
Abstract
Ⅰ. 서론
Ⅱ. 조사 방법
Ⅲ. 본론
Ⅳ. 결론
Ⅴ.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朱丹溪와 張景岳의 相火論에 관한 比較 硏究
- 李梃의 中風論과 張介賓의 非風論의 비교 연구
- 類比推理를 통해 본 韓醫學 理論構成의 과정
- 한국 한의학 문헌에 나타난 한방외과
- 『東醫寶鑑』'中喝中熱之辨'에 대한 考察
- 醫易三鍼法에 대한 연구
- 음양오행론의 발생과 그 응용
- 『傷寒論』의 "中風"과 "傷寒"에 대한 考察
- 王冰의 『老子』이해에 관한 考察
- 周學海의 『讀醫隨筆ㆍ氣血精神論』에 관한 硏究
- 원전학 교육 현황에 관한 연구
- 隋唐五代의 醫政史에 관한 연구
- 金匱當歸散의 胎熱 豫防 가능성에 대한 小考
- 傷寒論 三陽三陰病의 發生과 變化에 대한 고찰
- 『傷寒明理續論』 중 譫語외 8證에 대한 硏究
- 四君子湯, 四物湯, 八物湯 및 十全大補湯의 처방 구성 및 용량 용법에 관한 연구
- 張介賓의 醫學倫理 思想에 대한 考察
- 『韓客治驗』에 기재된 의안 연구
- 殷商代의 疾病과 治療
- 張介賓의 六十四卦 方圓圖에 대한 闡發
참고문헌
관련논문
의약학 > 한의학분야 BEST
- 제왕절개 수술이 신생아의 건강에 미치는 영향 - 장내 미생물을 중심으로
- 소아 화폐상 습진의 임상 특성과 통합적 치료 접근에 대한 고찰
- 영아 야제의 다빈도 한의 변증, 임상 증상 및 한의치료 분석 - 최근 5개년(2019-2024) 중의학 연구를 중심으로
의약학 > 한의학분야 NEW
- 대한한의학원전학회지 38권 3호 목차
- 朝鮮에서 現代까지 韓醫學 敎育 變遷에 대한 역사적 의미 고찰과 전망: 原典 교육을 중심으로
- 한문의서의 한글번역 연구 - 더 나은 번역을 위한 對譯語 선정에 대하여 『온열론』을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