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Study on Comparison Gunhwa-ron(君火論) by Jinmutaek(陳無擇) and Sanghwa-ron(相火論) by Judangye(朱丹溪)
- 발행기관
- 대한한의학원전학회
- 저자명
- Baik You-Sang(白裕相)
- 간행물 정보
- 『대한한의학원전학회지』19권 3호, 381~388쪽, 전체 7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한의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6.08.31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From the study on A Study on Comparison Gunhwa-ron(君火論) by Jinmutaek(陳無擇) and Sanghwa-ron(相火論) by Judangye(朱丹溪), the conclusion is as follows.
Judangye(朱丹溪) said that Gunhwa(君火) is human fire[人火] and Sanghwa(相火) is heaven's fire[天火] having being opposite to the opinion of Jinmutaek(陳無擇). Jinmutaek(陳無擇) considered Gunhwa(君火) as native fire, Judangye(朱丹溪) also did Sanghwa(相火) as the source of life force.
The Sanghwa(相火) that is heaven's fire[天火] mentioned by Judangye(朱丹溪) is located in part of Eum(陰) or deep part, because it based on the nothingness(虛無) to behind inside.
Having become large the meaning of Gunhwa(君火) and Sanghwa(相火) defined by Jinmutaek(陳無擇) and Judangye(朱丹溪), more smaller that of Gunhwa(君火) and Sanghwa(相火) in the opposite site.
Jinmutaek(陳無擇) and Judangye(朱丹溪) had difficult to state fairly about the meanings of Gunhwa(君火) and Sanghwa(相火), because of exceed intention to emphasize the importance of thier own opinions.
목차
Abstract
Ⅰ. 緖論
Ⅱ. 本論
Ⅲ. 結論
Ⅳ. 參考文獻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藥物의 '升降浮沈' 이론과 方劑上의 運用例에 대한 연구
- 金匱要略ㆍ婦人姙娠脈證幷治第二十에 對한 硏究
- 『素问大要』硏究
- 488例清代温病医案的舌象分析
- 『金匱要略心典』濕病條文에 대한 연구
- 張子和의 刺血法이 後世醫學에 미친 影響
- 金匱要略ㆍ瘡癰腸癰浸淫病脈幷證治第十八에 對한 硏究
- "發於陽"과 "發於陰"에 대한 考察
- 陳無擇의「君火論」과 朱丹溪「相火論」의 比較 考察
- 『诸病源侯论』与仲景『金匮要略方』
- 昭顯世子의 死因에 관한 考察
- 한의학회지의 처방명 로마자 표기에 관한 고찰
- 細胞에 對한 韓醫學的 比較硏究
- 朝鮮時代 顯宗, 肅宗, 景宗, 英祖의 疾病과 治療
- 景岳全書 脈神章 中 內經脈義에 對한 硏究
- 『醫宗金鑑ㆍ正骨心法要旨』의「外治法」에 대한 연구
- 兩宋時期의 醫政史에 관한 연구
- 清代舌诊医案外感病与内伤病的舌象特征研究
- 靈樞ㆍ骨度에 對한 硏究
- 哀怒喜樂之氣의 運動에 따른 太少陰陽人의 四臟大小 變化에 대한 硏究
- 일본 "後世派" 의학에 관한 연구
- 靈樞ㆍ營氣에 對한 硏究
- 『黃帝內經』의 宇宙論에 關한 硏究
- 茶山 醫學觀의 得失에 관한 연구
- 『素問ㆍ寶命全形論』의 五行相克에 對한 小考
참고문헌
관련논문
의약학 > 한의학분야 BEST
- 제왕절개 수술이 신생아의 건강에 미치는 영향 - 장내 미생물을 중심으로
- 소아 화폐상 습진의 임상 특성과 통합적 치료 접근에 대한 고찰
- 영아 야제의 다빈도 한의 변증, 임상 증상 및 한의치료 분석 - 최근 5개년(2019-2024) 중의학 연구를 중심으로
의약학 > 한의학분야 NEW
- 대한한의학원전학회지 38권 3호 목차
- 朝鮮에서 現代까지 韓醫學 敎育 變遷에 대한 역사적 의미 고찰과 전망: 原典 교육을 중심으로
- 한문의서의 한글번역 연구 - 더 나은 번역을 위한 對譯語 선정에 대하여 『온열론』을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