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제언행동(Voice Behavior)의 선행요인과 집단 내 갈등의 조절효과
이용수 841
- 영문명
- The enablers and inhibitors of employee voice behavior: The direct effects of enablers and the moderating effects of group conflicts
- 발행기관
- 한국인사조직학회
- 저자명
- 오현정 정명호
- 간행물 정보
- 『한국인사조직학회 발표논문집』한국인사조직학회 2014년도 춘계학술연구발표회 발표논문집, 1~35쪽, 전체 34쪽
- 주제분류
- 경제경영 > 경영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4.03.30
6,8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제언행동(voice behavior)이란 조직의 혁신 또는 긍정적 변화를 위한 구성원의 주도적이고 자발적인 행동을 의미한다. 현대의 조직들은 급변하는 외부 환경에 신속하게 적응하고 지속적인 혁신을 이루기 위해 구성원이 주도적으로 자신의 의견을 제기하는 제언행동을 필요로 한다. 본 연구는 조직구성원이 조직의 긍정적 변화를 위해 제언을 하더라도 그것이 받아들여지지 않거나 오히려 타 구성원의 비난을 사게 될 것을 우려해 이를 표출하지 못하는 '암묵적 제언이론(implicit voice theory)'에 주목한다. 따라서 조직구성원의 제언을 가능하게 선행요인(enablers)과 이러한 가능요인이 충족되더라도 집단 특성에 의해 행동으로 표출되는 것을 방해하는 저해요인(inhibitors)의 존재를 구분하여 논의할 필요가 있음을 제기한다.
본 연구는 선행연구에 대한 검토를 통해 제언행동의 가능요인을 구성원의 능력, 의지, 기회라는 세 가지 차원에서 접근하여, 각 차원에서 구성원의 권력(power), 심리적 소유감(psychological ownership), 그리고 리더-구성원 교환관계(LMX)를 선정하였다. 또한, 구성원의 제언행동을 조직의 긍정적 변화에 기여하는 촉진적(promotive) 제언행동과 조직의 문제를 방지하기 위한 예방적(prohibitive) 제언행동의 두 가지 형태로 분류하여 분석하였다. 제언행동의 저해요인으로는 집단 내 관계갈등과 지위갈등을 고려하였다.
본 연구는 국내 유아용품 제조기업 B사의 24개 팀 구성원과 마케팅 서비스 기업 K사의 3개 팀 구성원 총 143명의 자료로 연구가설을 검증하였다. 분석 결과, 구성원의 권력 및 LMX 정도는 예측한 바와 같이 구성원의 촉진적ㆍ예방적 제언행동과 매우 강력한 정(+)의 관계를 갖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반면, 구성원의 심리적 소유감은 제언행동과 부(-)의 관계를 가졌으며, 제언행동과 역 U자형의 비선형관계를 가질 가능성이 관측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구성원이 조직에 대해 갖는 소유의식이 일정 수준에 이를 때까지는 자발적인 제언을 가능하게 하지만, 적정 수준을 넘어설 경우에는 조직의 현 상태에 과도한 만족도를 보임으로써 변화를 거부하는 보수적인 태도를 유발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집단 내 갈등의 효과를 분석한 결과, 관계갈등 및 지위갈등은 집단 내 영향력 있는 구성원의 제언행동을 유의미하게 저해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지위갈등의 경우, 촉진적(생산적) 제언행동에 대해서는 유의적인 저해효과가 나타나지 않은 반면, 예방적 제언행동을 저해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가 집단 및 조직관리에 미치는 효과와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영문 초록
As employee voice behavior is getting more important, a plethora of research has studied various antecedents of voice behavior over the past decades. However, the identified antecedents still have mixed results and many questions are remained unsolved. This study regards employee voice behavior as an extra-role performance in a wider sense, and adopts the Blumberg & Pringle's (1982) three dimensional model of work performance (capacity, willingness, and opportunity) to define the enablers of voice behavior. We demonstrate how three enablers of voice behavior (i.e., power, psychological ownership, LMX) based on the three dimensions, uniquely enable the two different kinds of voice behavior (promotive and prohibitive). Also, we investigate how relationship conflict and status conflict (inhibitors) moderate the enablers' direct effects respectively
For this study, we collected data of 143 employees from a manufacturing company and a marketing service companies in Korea to examine the hypothesized relationships between the enablers/inhibitors and employee voice behavior through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showed that individual power of employees and perceived LMX level have strong positive influence on voice behavior. However, psychological ownership was negatively related to two kinds of voice behavior. Additionally, we found the 3-way interaction effect of the three enablers on promotive voice behavior, and 2-way interaction effect of power and LMX on prohibitive voice behavior. Furthermore, relationship conflict had negative moderating effect onl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ower and the two voice behaviors, whereas status conflict negatively moderated the positive effect of power on prohibitive voice behavior.
All in all, this study found the enabling effects of employee's capacity and opportunity on voice as well as inhibiting effect of relationship conflict and status conflict. Based on these findings, we discussed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for management of employee voice behavior and some directions of future research.
목차
초록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및 연구가설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토론 및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리더의 변혁적ㆍ거래적 리더십이 중국인 근로자의 직무만족 및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 성과주의 평가보상제도의 디커플링 현상이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K사 평가보상시스템이 종업원 만족도 및 조직 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지식공유에 대한 지각된 업무상 위험과 조직내 가식의 효과
- 일본의 정년연장과 중고령 인력의 처우 및 활용 실태
- Intrinsic Motivation from Low Task-Conflict-Asymmetry Fosters the Independent Self's Creativity
- Contingent employment and organizational outcome: Clear benefits versus latent costs
- 조직내 친교관계망에서의 동일한 하위집단 소속이 동료를 향한 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과 그에 관한 조절 효과에 관한 연구
- Institutional Effect on Corporate Commitment to 'Socially' Responsible Behavior
- 진성리더십이 변화지지행동에 미치는 영향
- 전문성과 소통을 통한 집단지성 극대화 방안모색 사례연구
- 유연근무제의 수요가 여성 관리자의 직장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Negative and Positive Networks and Citizenship Behaviors towards Co-workers
- 우리나라 대기업의 출향제도 활용사례와 과제
- 고용불안정성 대응을 위한 평생교육과 CDP의 연계방안모색
- 제언행동(Voice Behavior)의 선행요인과 집단 내 갈등의 조절효과
- 정치적 스킬이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
- 핵심인재가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
- 직무열의(Job Engagement)의 선행요인과 결과에 관한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경제경영 > 경영학분야 BEST
- 근로시간 단축(주 4일제) 관련 글로벌 동향 분석과 변화 방향 제언
- 소비자의 ESG경영요구가 ESG경영지지에 미치는 영향
- 직무만족, 조직몰입, 성과, 이직의도 간의 관련성 - 문헌고찰 및 메타분석
경제경영 > 경영학분야 NEW
- 일류기업(Great Company Research) 제2권 제1호 목차
- 다함께 돌봄사업 홍보영상에 대한 브랜드 포지셔닝 연구
- An International Comparative Analysis of Brand Value: Korean Ginseng and Changbai Mountain Ginseng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