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Critical Study on Requirements for Trade Secret and A Crime of Occupational Breach of Trust -Focusing on Supreme Court Decision No.2009Do3915; June 30, 2011-
- 발행기관
- 세창출판사
- 저자명
- 정태호(Tae-Ho Jung)
- 간행물 정보
- 『창작과 권리』2012년 봄호 (제66호), 123~160쪽, 전체 37쪽
- 주제분류
- 법학 > 법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2.03.01
7,2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Article 2, Section 2 of Unfair Competition Prevention and Trade Secret Protection Act states that "Trade Secret" means information, including a production method, sale method, useful technical or business information for business activity, that is not known publicly, is the subject of considerable effort to maintain its secrecy and has independent economic value. Particularly, given the article, the "maintaining secrecy" is an important standard of judgment for trade secret. However, recently most courts is applying a crime of occupational breach of trust of the Criminal Act Article 356 to many cases related to infringement of trade secret based on "important business assets" since they strictly determine the standards on the existence of "maintaining secrecy" based on the application of the term "considerable effort". However, diverse analyses and arguments from a case can be occurred for the abuse of important business assets because the Criminal Act has not clearly defined the meaning of the "important business assets". According to this situations, it may be actually meaningless to insist on an act of infringement of trade secret based on Article 2, Section 2 of Unfair Competition Prevention and Trade Secret Protection Act. Thus, this paper studies the relations between requirements for trade secret and a crime of occupational breach of trust focusing on the recent Supreme Court Decision No.2009Do3915; June 30. 2011, which has trade secret and important business assets cases in it. Furthermore, this paper insists on relaxing standards of requirements for trade secret and critically analyses and examines the abuse of a crime of occupational breach of trust based on important business assets from the subject case.
목차
Ⅰ. 서론
Ⅱ. 대상 판결의 경위
Ⅲ. 영업비밀의 성립요건 검토
Ⅳ. 업무상 배임죄의 적용에 대한 검토
Ⅴ. 대상 판결과 외국의 동향 비교 검토
Ⅵ.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법학 > 법학분야 BEST
- 인공지능 판사, 과연 가능한가?
- 정치의 사법화와 사법의 정치화 : 온건하고 실용적인 헌법재판의 당위성
- 자국 우선주의 정책과 국제법상 난민⋅이민자 보호-트럼프 행정부의 미국 우선주의를 중심으로-
법학 > 법학분야 NEW
- 디지털포렌식 절차에서 음란물 디지털 증거의 관련성과 문제점 - 대법원 2023도11395 판결을 중심으로
- 미성년 성폭력 피해자 진술분석 면담 영상녹화물의 증거능력에 관한 연구 - 미국의 대면권과 전문법칙 판례 변화를 중심으로
- ‘수사와 기소 분리’ 법률안에 대한 논의와 대안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