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결신 발작에서 이차 약제로서 Valproate와 Lamotrigine의 치료 효과

이용수  50

영문명
Outcomes of the Monoconversion to Valproate or Lamotrigine for Absence Seizures
발행기관
대한소아신경학회
저자명
빈중현(Joong Hyun Bin) 박선영(Sun Young Park) 한지윤(Ji Yoon Han) 엄태훈(Tae Hoon Eom) 김성준(Seong Joon Kim) 김영훈(Young Hoon Kim) 이인구(In Goo Lee) 정승연(Seung Yun Chung)
간행물 정보
『Annals of Child Neurology(구 대한소아신경학회지)』대한소아신경학회지 제22권 제2호, 69~71쪽, 전체 2쪽
주제분류
의약학 > 소아과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4.06.30
4,0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목적: ESX로 치료하고 잘 조절되고 있던 소아청소년기 결신 발작환자에서 ESX 치료가 중단되어 VPA와 LTG로 대체하였을 때 치료 효과를 비교하고자 하였다. 방법: 2010년 1월부터 2012년 12월까지 가톨릭대학교 서울성모병원, 인천성모병원, 부천성모병원, 의정부성모병원, 성빈센트병원 소아청소년과를 통해 소아청소년기 결신 발작으로 진단 받고 일차 치료제로 ESX를 사용하였다가 ESX 사용 중단으로 이차 치료제인 VPA와 LTG로 대체한 34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소아청소년기 결신발작의 임상양상과 특징적인 뇌파 소견을 기준으로 선정하였고 치료약제 변경에 따른 발작 감소율과 약제에 대한 부작용 등을 후향적으로 조사하였다. 결과: 전체 34명의 환자 중 17명(50.0%)이 이차 치료제로 VPA를, 17명(50.0%)이 LTG를 사용하였다. 이차 치료제로 치료 시작 후 3개월 동안 발작이 완전히 조절된 환자는 전체 20명(58.8%)이였고, 이중 VPA로 치료 받은 환자는 13명(76.5%), LTG로 치료 받은 환자는 7명(41.2%)이었다. 이차 치료제를 사용하였으나 발작이 잘 조절되지 않거나 부작용에 의해 다른 약으로 대체한 경우는 이차 치료제로 VPA 치료한 환자는 4명(23.5%), LTG로 치료한 환자는 10명(58.8%)이었다. 이차 치료제로 VPA와 LTG를 사용하여 3개월 동안 발작이 완전히 조절되는 치료 효과를 비교하였을 때 VPA가 LTG에 비해 더 좋은 결과를 보였다(P=0.04). 결론: ESX로 치료하고 잘 조절되고 있던 소아청소년기 결신 발작환자에서 부득이한 이유로 ESX를 사용할 수 없을 때 이차 치료제로 VPA 사용이 추천된다.

영문 초록

Purpose: Ethosuximide (ESX) is currently not available due to various reasons in Korea. The aim of this study is to compare the efficacy of valproate (VPA) and lamotrigine (LTG) when ESX monotherapy was replaced by VPA or LTG. Methods: A retrospective study was done for a total of 34 patients treated with ESX in 5 different hospitals affiliated with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from January, 2010 to December, 2012. They all were initially treated with ESX, but later switched to VPA or LTG. The subjects were selected based on clinical symptoms and electroencephalography findings. Results: Among 34 patients, VPA was prescribed to 17 patients (50.0%) and LTG to 17 patients (50.0%). Twenty patients (58.8%) achieved the seizure freedom after 3 months of the treatments, 13 patients (76.5%) by VPA and 7 (41.2%) by LTG respectively. Four patients (23.5%) with VPA and 10 (58.8%) with LTG were replaced by other anticonvulsants due to ineffectiveness and/or side effects of medication. When we compare the efficacy of seizure reduction between VPA and LTG after 3 month period of the treatment, the efficacy of VPA was better than that of LTG (P=0.04).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the VPA is a better alternative anticonvulsant than LTG for the patients with absence epilepsy who are unable to continue ESX.

목차

Abstract
서론
대상 및 방법
결과
고찰
요약
Reference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빈중현(Joong Hyun Bin),박선영(Sun Young Park),한지윤(Ji Yoon Han),엄태훈(Tae Hoon Eom),김성준(Seong Joon Kim),김영훈(Young Hoon Kim),이인구(In Goo Lee),정승연(Seung Yun Chung). (2014).결신 발작에서 이차 약제로서 Valproate와 Lamotrigine의 치료 효과. Annals of Child Neurology(구 대한소아신경학회지), 22 (2), 69-71

MLA

빈중현(Joong Hyun Bin),박선영(Sun Young Park),한지윤(Ji Yoon Han),엄태훈(Tae Hoon Eom),김성준(Seong Joon Kim),김영훈(Young Hoon Kim),이인구(In Goo Lee),정승연(Seung Yun Chung). "결신 발작에서 이차 약제로서 Valproate와 Lamotrigine의 치료 효과." Annals of Child Neurology(구 대한소아신경학회지), 22.2(2014): 69-71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