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ccording to the Type of Muscle Contraction Ankle Muscle Strengthening Training Affects the Balancing Ability of Stroke Patients
- 발행기관
- 대한치료과학회
- 저자명
- 윤광호(Yun Kwang-Ho) 이주상(Lee Ju-Sang) 유영열(You Young-Youl)
- 간행물 정보
- 『대한치료과학회지』Vol. 5, No. 2, 86~95쪽, 전체 9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재활의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3.12.31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Objective: This study aimed to the effects of eccentric contraction training and concentric contraction training among ankle joint exercises on the balance of stroke patients and to compare their effects.
Method: Forty patients with hemiplegia resulting from stroke were randomly and equally assigned to either an eccentric contraction training group or a concentric contraction training group. Using the Korean version of the Berg Balance Scale (K-BBS), the Timed Up and Go test with the addition of a cognitive task (TUGcongnitive), the Functional Forward Reach Test (FRT), and BioRescue as measurement tools, changes in the weight-bearing ratios of the paretic and non-paretic sides (Footsprints) were measured, as well as the total movement area of the central point of the body with the eyes open and closed. Changes according to the time in each measurement item and differences between the groups were analyzed with repeated measures analysis of variance (ANOVA). The statistical significance level was set at p<.05.
Results: In comparison between the times for each group, K-BBS, TUGcognitive, FRT, and BioRescue, Footsprints, SEO and SEC improved in both groups with the passage of time. All variables improved to a greater cxtent in the eccentric contraction training group than in the concentric contraction training group.
Conclusion: Eccentric contraction training, which is ordinarily accessible, involves low risk and is economical. Thus, it may be provided as an effective treatment method aimed at enhancing the balance ability of stroke patients whose onset period is shorter than two years.
목차
ABSTRACT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고찰
Ⅴ. 결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기능적 전기자극을 병행한 하지 테이핑의 보행훈련이 뇌졸중환자의 근활성도와 보행에 미치는 영향
- 슬링 운동과 시각적 되먹임을 이용한 안정화 운동이 만성요통환자의 통증, 근 기능 및 척추운동성에 미치는 효과 비교
- 거울을 이용한 시각적 되먹임 트레드밀훈련이 뇌졸중 환자의 균형과 보행에 미치는 영향
- 도수치료 중재 방법이 견관절 충돌증후군 환자의 통증, 기능, 근력에 미치는 영향
- 신경근 훈련 운동 프로그램이 주니어 농구선수의 동적균형과 발목 안정성에 미치는 영향
- 경추부 이상 환자의 경ㆍ요추부 운동이 척주 만곡 및 체중심 이동에 미치는 영향
- 만성 편마비 환자에게 적용한 저항성 닫힌 사슬 운동이 균형과 보행에 미치는 영향
- 근육 수축 유형에 따른 발목관절 근력 강화가 뇌졸중 환자의 균형에 미치는 영향
- 과제보행 운동적용이 만성 편마비 환자의 보행능력에 미치는 영향
- 안정화 운동을 위주로 한 중재방법이 만성요통에 미치는 영향
- 한국인 인체측정을 사용한 새로운 베개 디자인
참고문헌
관련논문
의약학 > 재활의학분야 BEST
- 대학생의 소셜 미디어에 대한 과도한 이용과 중독이 수면의 질에 미치는 영향
- 중증정신질환자가 이용하는 지역사회 정신건강서비스에 대한 체계적 고찰
- 치매안심센터에 등록된 이용자에게 적용한 프로그램 효과에 대한 체계적 고찰 및 치매안심마을의 향후 연구 방향
의약학 > 재활의학분야 NEW
- Effect of maximum expiration with hip adductor contraction during bridge exercise on trunk muscle activity in healthy individual
- The Effects of Combined tDCS and Sling Exercise on Cervical Muscle Properties: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 Exploring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Smart Insoles in Gait Parameter Measurement: A Cross-sectional Study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