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3수준 로지스틱 회귀 모형을 활용한 재수생 특성 분석
이용수 1,266
- 영문명
- Examining the characteristics of CSAT re-takers via three-level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 발행기관
- 한국교육평가학회
- 저자명
- 이명애(Myungae Lee) 정혜경(Hyekyung Jung)
- 간행물 정보
- 『교육평가연구』제27권 제2호, 357~380쪽, 전체 2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4.06.30
5,5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대학수학능력시험과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를 연계한 대규모 자료를 활용하여 재수생의 특성을 살펴보았다. 통계 분석을 위하여 3수준 임의 절편 로지스틱 회귀 모형을 적용함으로써 학생, 학교, 시군구가 내재된 다층 구조를 통계 분석에 반영하였으며, 학생 성취도 점수, 학생 배경 변수, 학교 및 지역 특성 정보 중에서 어떠한 변수들이 재수에 영향을 미치는지와 그 관련성 정도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수능 성적 또는 학업성취도 점수가 높을수록 재수와 정적 상관을, 학생의 방과후학교 참여와 재수는 부적 상관을 보였다. 학교 및 시군구별 재수 비율에 대한 분산이 큰 것으로 나타났으며, 학생 변수를 통제한 후 수능 학교 평균이 높을수록 재수 비율이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고, 16개 시도 구분 정보가 재수를 예측하는데 중요한 요인으로 파악되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amin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llege Scholastic Ability Test (CSAT) re-takers based on the CSAT data combined with the National Assessment of Educational Achievement (NAEA). For analyses, three-level random intercept logistic regression models were employed in order to reflect the data structures in analyses such that students are nested within schools, and schools were nested within districts. Key findings include that CSAT scores or NAEA scores were positively associated with CSAT retaking, and female or students participating in after-school programs were less likely to re-take the CSAT. Proportions of CSAT re-takers varied across schools and districts, and students attending schools with higher CSAT school means were more likely to re-take CSAT, and the dummy variables distinguishing 16 cities and provinces were statistically and substantively significant in prediction of students' CSAT retaking after controlling for other variables in the model.
목차
국문요약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분석 결과
Ⅴ. 요약 및 논의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고정문항모수 추정방법에서의 능력모수 순위변화 탐색
- 중등학교 영어 지필선별검사의 SPRT CAT로의 전환 가능성 탐색
- 장애학생의 검사조정 효과에 대한 메타분석
- Bootstrap 방법을 이용한 Rasch 이분 문항 적합도 지수의 신뢰구간 탐색
- CIPP 평가모형을 적용한 2009 개정 중학교 교육과정 평가지표 타당화
- 부모와 학생관련 변수가 고등학생의 읽기성취에 미치는 효과
- 불완전 종단자료의 분석에서 다층성장모형과 잠재성장모형의 고정효과 모수 추정 비교
- 학년 간 내용 연계성을 고려한 검사구성이 수직척도에 미치는 영향
- 대학 강의평가 일관적 응답의 경향성과 영향력 분석
- 혼합라쉬모형을 적용한 TIMSS 2011 수학흥미 척도의 응답양식 탐색
- 중등학교에서의 방과후학교 효과분석
- 3수준 로지스틱 회귀 모형을 활용한 재수생 특성 분석
- 자율형 공ㆍ사립 고등학교의 성과 분석
- 단일집단 및 다집단 검사자료의 IRT 문항모수 추정을 위한 BILOG-MG, ICL, PARSCALE 프로그램의 기능 비교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인생3막 평생교육을 위한 노년기 배움형 일자리창출 플랫폼 개발 연구
- 지각된 부모의 심리적 통제가 군 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평가염려 완벽주의와 자기자비의 매개효과
- 유아교사의 민감성 및 창의적 교수능력이 교사-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