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Eurotium cristatum ssp. for Microbial Fermented Tea
- 발행기관
- 한국차학회
- 저자명
- 정유석(Yu Seok Jeong) 박상기(Sang Gi Park) 조경환(Kyoung Hwan Cho) 손경현(Gyeong Hyun Son) 김용덕(Yong Duck Kim) 황정규(Jeong Gye Hwang) 이종국(Jong Gug Lee) 류충호(Chung-Ho Ryu) 김종철(Jong Cheol Kim)
- 간행물 정보
- 『한국차학회지』제20권 제1호, 45~49쪽, 전체 4쪽
- 주제분류
- 농수해양 > 기타농수해양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4.03.31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금화현상이 발현된 중국 호남성 익양 차창 복전차로부터 금화균으로 추정되는 균주를 분리하고, 분리한 균주를 200배 확대한 주사전자현미경(SEM)으로 선발된 균주를 관찰한 결과 폐쇄 포자낭과(Cleistothecium)와 균사를 관찰할 수 있었으며, 기존의 연구와 비교한 결과 형태학적으로 Eurotium 속 이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분리한 균주의 단일 균체로부터 Genomic DNA를 분리하여 β-Tubulin gene과 RNA Polymerase β gene을 PCR 방법을 사용하여 증폭하였다. 클로닝한 후 DNA 염기서열 분석결과 β-Tubulin gene과 RNA Polymerase β gene의 크기는 각각 400 bp, 600 bp로 확인 되었다. 염기서열 분석결과 KACC93171P는 NRRL4222로부터 분리된 Eurotium cristatum의 β-Tubulin gene과 가장 높은 상동성을 나타내었다. 비가중산술결합법을 이용한 유전계통도 작성 결과 분리된 KACC93171P 균주는 Eurotium sp. 중에서도 E. cristatum과 가장 유사하였으며, E. cristatum의 아종(Subspecies)으로 사료되었다.
영문 초록
Golden flower tea is known as a tea fermented by yellow colored microbial colonies found dominantly in Chinese Fuzhuan brick tea. In this study, a golden flowering fungi, Eurotium cristatum, was isolated from Chinese Fuzhuan brick tea and characterized. To isolate the strain, the tea extract was spread out on potato dextrose agar plates and cultured at 25 °C for 120 h. Phylogenetic analysis through UPGMA showed that the isolated golden flowering microbes were most similar to E. cristatum. This suggests that the isolated microbes are grouped to E. cristatum subspecies. This microbe was registered at the National Agro Biodiversity Center (KACC93171P) for golden flower tea development.
목차
Abstract
서론
재료 및 방법
결과 및 고찰
적요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18세기 우키요에(浮世繪)를 통해 본 수차옥(水茶屋)의 특성
- 개입연구방법을 적용한 차문화치료 프로그램 초기 개발
- 미생물발효차에서 Eurotium cristatum ssp. 분리 및 특성 분석
- 국내산 미생물발효차의 제조공정 중 기능성 성분 변화 양상 및 항산화활성 평가
- 차나무 유래의 조효소와 재고녹차를 이용하여 제조한 차 향기추출물의 피부미용효과
- 홍차를 첨가하여 제조한 화이트 와인에 함유된 5종 Flavonoid의 분리 및 동정
- 차응애의 3종 식물보호제에 대한 감수성
- 제조방법의 차이에 따른 떡차의 성분학적 특성
- Comparison of Major Component Contents in Black Teas Manufactured from Korea and Foreign Countries
- 뽕잎 채취시기에 따른 뽕잎차의 이화학적 성분 분석
참고문헌
관련논문
농수해양 > 기타농수해양분야 BEST
- 한국 차 산업 동향 분석을 통한 정책 대안 모색
- 고효율의 아그로박테리움 형질전환법을 이용한 제초제저항성 나리 식물체 개발
- Effect of media components on hyperhydricity in horticultural crops: A review
농수해양 > 기타농수해양분야 NEW
- 방풍 구조물 설치에 따른 옥수수 화분 비산 및 교차수분 저감 효과 연구
- Genetic stability analysis of in vitro micropropagated fire blight-resistant apple rootstocks
- Identification and functional characterization of FLOWERING LOCUS T and TWIN SISTER OF FT floral integrator genes in Pak-choi (Brassica rapa ssp. Chinensis)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