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Freedom of Expression and Korean Schools
이용수 108
- 영문명
- 학교에서 학생의 표현의 자유에 대한 연구
- 발행기관
- 한국교육사상학회 (구 한국교육사상연구회)
- 저자명
- 김상현(Kim, Sang-Hyun) 브라이언 워닉(Warnick, Bryan)
- 간행물 정보
- 『교육사상연구』교육사상연구 제28권 제1호, 49~70쪽, 전체 21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4.04.30
5,3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논문은 비교적 짧은 기간에 민주주의가 발전하여 왔으며 개인의 자유와 권리가 크게 신장된 한국사회에서의 학생의 표현의 자유에 대한 연구이다. 이를 위해 먼저 오늘날의 한국사회가 지향하고 있는 민주주의 사회에서 표현의 자유가 갖는 가치와 중요성을 보여주는 세 가지 철학적 논의를 살펴보고, 이어서 학생의 표현의 자유가 학교라는 특수한 상황에서 어떻게 이해되어지고 적용되어야 할 것인지에 대해 분석하였다. 학생의 표현의 자유와 관련하여서는 구체적으로 우리나라 학교가 가지는 특수한 환경이 무엇인지를 알아보고 그 특성들이 학생의 표현의 자유를 장려하는지 아니면 제한하는지를 살펴보았다. 본 연구는 학교라는 특수한 상황이 학생들의 표현의 자유를 보호해야 하는 이유가 있으면서도 동시에 학생들의 표현의 자유를 제한해야 하는 이유가 있음을 보여주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학교라는 특수한 상황이 갖는 특성에 의해 학생의 표현의 자유를 제한해야 한다면, 학교는 여전히 학생들의 목소리를 존중하고 있음을 보여주는 교육적인 방법으로 제한하여야 함을 제의하였다.
영문 초록
In this paper, we examine student speech rights in contemporary Korea, a land in which there has been an upsurge in democratic aspirations in both society and education during recent decades. We first establish the reasons why freedom of expression is important in democratic societies and then consider how the special characteristics of Korean schools might transform student free speech in Korean schools. From the analysis, we suggest that the several characteristics of schools in the Korean setting have mixed implications for student speech rights. Specifically, while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schools give some reasons to protect student speech, they also show that there are strong reasons to limit it. Despite there being circumstances in which student voices might need to be controlled because of the needs of a school environment, the special environment of schools reminds us that schools must take student rights seriously in order to fulfil their educational mission.
목차
Ⅰ. Introduction
Ⅱ. The ethical basis of free speech
Ⅲ. Free speech and the context of schools
Ⅳ. Concluding thoughts
References
<초록>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John Dewey 경험철학의 변화성 원리에 의한 철학적 치유 가능성
- 교육사상 연구방법으로서 텍스트 다시 쓰기
- 연변조선족사회와 민족교육의 관계에 대한 고찰
- 교육사상(敎育思想) 연구방법으로서 해석학
- 자율성에 대한 비판적 검토를 통한 교육적 이상으로서의 의미 고찰
- Freedom of Expression and Korean Schools
- 『주역』「계사전」의 유물론적 성격과 교육적 시사점
- 화서학파(華西學派)의 습례(習禮)와 행례(行禮) 공부
- 개념사와 형태론을 적용한 '교육적'의 의미 분석
- 근대 교육 개념의 수용에 관한 개념사적 고찰
- 이념형(Idealtypus)과 실재형(Realtypus)
- ゴッフマンのドラマトゥルギーから見たチャレの パフォーマンス
- 듀이의 성장이론에 담긴 평생교육 이념
- Gadamer의 시간성 개념의 교육적 해석
- 노마디즘에 나타난 교육인간상 탐구
- 정도전의 과거 제도 및 학교 정책 개혁 구상과 그 제도적 귀결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인생3막 평생교육을 위한 노년기 배움형 일자리창출 플랫폼 개발 연구
- 지각된 부모의 심리적 통제가 군 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평가염려 완벽주의와 자기자비의 매개효과
- 유아교사의 민감성 및 창의적 교수능력이 교사-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