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학교폭력의 본질과 대처 방안
이용수 1,056
- 영문명
- A Study on the Substance of School Violence and Countermeasures
- 발행기관
- 한국인권사회복지학회
- 저자명
- 최준(Choi, Joon) 허영희(Heo, Yeong-Hui)
- 간행물 정보
- 『인권복지연구』제13호, 1~26쪽, 전체 2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3.04.30
5,9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한국 사회에서 학교폭력은 1990년대 중반 사회적인 문제로 등장하여 2004년에는 비로소 정부의 개입이 시작되었는데, 바로 「학교폭력 예방 및 대책에 관한법률」(이하 학교폭력예방법)의 제정이었다.
그러나 학교폭력예방법의 제정과 시행에도 불구하고 학교폭력은 여전히 흉포화 • 집단화 • 지능화 현상이 강하게 나타났으며, 법률 또한 2012년 3월 21일까지 무려 제12차 걸쳐 개정 되었다. 이는 학교폭력예방법이 목적하였던 기능을 제대로 수행하지 못했다는 반증이라 할 수 있고, 그 간의 학술적 연구와 실무적인 노력이 효과를 가두지 못하였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학교폭력에 대한 효율적인 대처 방안의 제시를 위해 선결적으로 학교폭력의 본질은 '범죄'라는 것을 분명히 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학교폭력에 대한 실효적 대응 방안을 마련하기 위해 학교폭력의 관계적 개념을 피해자와 가해자의 신분•법률의 목적을 고려하여 정립할 것을 요구하였고, 학교폭력예방법의 적용대상과 형법의 적용대상을 명확히 구분하여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또한 학교폭력의 가해자에 대한 관용적인 태도를 지양(止揚)하는 것이 학교폭력에 효율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하나의 방안이라 주장하였고, 마지막으로 인성교육의 확대와 피해자을 위한 대안학교(치유시설)의 설치 운영, 현실적인 피해보상대책을 위한 법률제도의 정립을 주장하였다.
영문 초록
School Violence has been regarded as trivial incident between students in Korea. But in the middle of 1990', It has entered the stage of social problem and more and more serious. Accordingly, on Jan 29, 2004, the government enacted the Act on Prevention of and Measures against School Violence(the School Violence Prevention Act).
In spite of establishment and operation of the Act, School Violence has been more and more serious and systematization. Also the Act has revised 12 times for 10 years.
These may be counter-evidence about utility of the Act and study on School Violence. Frankly speaking, the School Violence Prevention Act and studies on School Violence could not present useful countermeasures against School Violence.
So this study make clear 'School Violence is a Crime. 'and present a general idea about School Violence that based on relation between a wrongdoer and a victim. and insist upon dividing the object that Criminal law apply to and the School Violence Prevention Act apply to.
And insist that Tolerance Policy on School Violence must be sublated, fit up alternative school for the victim of School Violence etc.
목차
국문요약
Ⅰ. 들어가는 글
Ⅱ. 학교폭력의 이해
Ⅲ. 학교폭력의 원인
Ⅳ. 학교폭력에 대한 대처 방안
Ⅴ. 나가는 글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분야 BEST
- 사회복지의 법적 실천에 관한 탐색적 연구
- 코로나19로 인한 일상생활의 변화가 코로나블루에 미치는 영향
- 한국과 미국의 사회복지 윤리강령 비교연구 : 비밀보장, 이중관계, 문화적 다양성, 결함이 있는 동료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분야 NEW
- 한국케어매니지먼트 연구 제55호 목차
- 노인의 자원봉사활동동기 및 가족건강성이 긍정노후인식에 미치는 영향 : 욕구충족도의 조절된 매개효과
- 만성질환 노인의 돌봄 수혜경험 : 요양보호사 돌봄서비스 이용자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