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발행기관
- 형태론
- 저자명
- 나은미(Na, Eunmi, 羅恩美)
- 간행물 정보
- 『형태론』형태론 15권 2호, 225~241쪽, 전체 16쪽
- 주제분류
- 어문학 > 언어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3.11.30
4,7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서평 논문은 송원용(2005)의 『국어 어휘부와 단어 형성』(2005)을 비판적으로 검토한 것이다. 이 논문에서는 다음 세 가지를 검토하였다. 첫째는 어휘부와 단어형성부를 분리하여 서술한 점이다. 둘째는 단어 형성 체계를 파생과 합성 이외에 의사파생, 통사론적 원리의 원용, 통사구성의 단어화, 임시어 형성 등을 포함하여 하나의 체계를 세운 점이다. 셋째는 단어 형성 체계에서 공시적 과정으로 임시어를 설정한 점이다. 이에 대한 평으로 어휘부와 단어형성부의 관계가 명시적으로 기술되지 않은 점, 다양한 단어 형성 과정을 하나의 체계 내에서 설명함으로써 발생한 문제점, 임시어를 설정함으로써 예외적으로 공시적 과정을 인정한 점을 들었다.
영문 초록
This book review article critically reviewed "The lexicon of Korean and the word-formation" by Song Won-yong (2005). This article revised the following three matters. First of all, the article reviewed the part where described the lexicon and the word-formation components as separating them. Second, it established the word-formation system including pseudo-derivation, use of syntactic principles, atomization of syntactic phrases, and nonce-word formation besides derivation and compounding.
Third, the point that sets the nonce-word with the synchronization process from the word-formation system. The criticisms of the matters wer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lexicon and the word-formation components were not explicitly written, the problem appeared by describing various word-formation processes within one system, and exceptionally admitting the synchronic process by setting the nonce-word.
목차
국문요약
1. 도입
2. 쟁점 내용 개관 및 서평
3. 마무리 및 제언
참고논저
Abstract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게시판
- 유추 기반 단어 형성 체계의 정립
- ‘-엇’의 통시적 연구
- Bybee, J., Perkins, R. & Pagliuca, W. (1994), The Evolution of Grammar: Tense, Aspect, and Modality in the Languages of the World, Chicago: Th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 유추, 규칙의 대안인가?
- Lee, Byung-Gun, Natural Derivational Phonology, Seoul: Seoul National University Press, 2013, x+281Pp
- Gilbert LAZARD, L'actance, PUF, 1994
- 상태와 상태 변화
- 허웅(1995/2000), 『20세기 우리말의 형태론』, 서울: 샘문화사, 1530면
- 『형태론』 14권 2호의 기고에 대한 논평
- 민족어의 논항 구조와 그 유형론적 접근
참고문헌
관련논문
어문학 > 언어학분야 BEST
더보기어문학 > 언어학분야 NEW
- 혐오표현 말뭉치 비교 분석: 표적집단을 중심으로
- 한국 사회 ‘번아웃’ 담론의 다의성에 대한 언어정보학적 분석: 신문 기사 프레임별 개념화와 의미 변화를 중심으로
- 혐오 표현 ‘혼모노’에 대한 (사회) 단계적 현상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