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줄자 및 사진촬영 측정을 이용한 어깨뼈 벌림 측정에 대한 신뢰도 연구
이용수 48
- 영문명
- A Reliability Study of Tape and Photography Measurement Techniques for Scapular Position
- 발행기관
- 한국전문물리치료학회
- 저자명
- 김문환(Moon-hwan Kim) 윤성준(Sung-joon Yun) 하성민(Sung-min Ha)
- 간행물 정보
- 『한국전문물리치료학회지』한국전문물리치료학회지 제20권 제3호, 74~80쪽, 전체 7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의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3.08.31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reliability of distance measurements from the medial border of the scapula to the spinous process of the thoracic vertebrae when obtained using tape and photography measurements. The study included 20 healthy subjects (10 males, 10 females); for a total of 40 scapula measurements. The distance measurements made using tape or photography methods were conducted with the subject in a standing position. Repeated tape and photography measurements were conducted in two sessions on different days by two examiners to assess the inter-rater and intra-rater reliability of the two methods. The reliability of scapular distance measured using tape and photography methods was tested using intraclass correlation coefficients (ICC(3,1)) and the standard error of measurement (SEM). The inter-rater reliability of the tape measurement method was excellent (ICC=.77) and the intra-rater reliability was fair to good (ICC=.74). The inter-rater and intra-rater reliabilities of the photography measurement method were excellent (ICC=.76 and .76 respectively). Our results suggest that photography measurement is an objective and qualitative measurement tool for scapular distance measurements.
목차
Abstract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결과
Ⅳ. 고찰
Ⅴ. 결론
References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핸드폰 사용이 목과 어깨 근육의 근육활성도와 피로도에 미치는 영향
- 불안정지지면에서 일어서기 동작훈련이 뇌졸중 환자의 균형능력에 미치는 영향
- 각속도 300 °/sec에서 기능적 발목불안 유무에 따른 고유수용성감각, 발목 근력, 그리고 최고 회전력까지 걸리는 시간의 생체역학적 특성 차이
- 무릎뼈 높이에 대한 도수측정방법의 신뢰도와 타당도
- 아래등세모근 근력강화 운동방법들 사이의 어깨뼈 위쪽 돌림근과 다른 어깨 근육들의 근활성도 비교
- 신발 굽 높이와 근피로가 젊은 여성의 정적 및 동적 균형에 미치는 영향
- Effects of Three Different Hip Positions in Frontal Plane on Activity of Abdominal Muscles During Active Straight-Leg Raise
- 소아 가정방문 물리치료의 인식도와 수요도에 관한 설문조사
- 줄자 및 사진촬영 측정을 이용한 어깨뼈 벌림 측정에 대한 신뢰도 연구
- A Comparative Study of Item Difficulty Hierarchy of Self-Reported Activity Measure Versus Metabolic Equivalent of Tasks
- 장애물 통과 트레드밀 보행훈련이 뇌졸중 환자의 보행기능에 미치는 효과
참고문헌
관련논문
의약학 > 의학일반분야 BEST
- 중증정신질환자가 이용하는 지역사회 정신건강서비스에 대한 체계적 고찰
- 인지행동치료가 조현병 환자의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체계적 고찰
- 조현병 환자에게 적용한 그룹인지재활프로그램이 인지기능과 작업적 참여에 미치는 효과
의약학 > 의학일반분야 NEW
- Effect of Neck Stabilization Exercise with Reverse Plank Exercise on Neck Alignment and Muscle Function in University Students with Forward Head Posture
- Comparison of sternocleidomastoid (SCM) muscle thickness in college students with forward and normal posture: an ultrasound cross-sectional study
- The effect of shoulder muscle exercise therapy on functional level, grip strength and pain in patients with lateral elbow tendinopathy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