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소아 가정방문 물리치료의 인식도와 수요도에 관한 설문조사
이용수 274
- 영문명
- Awareness and Demand for Pediatric Home-Based Physical Therapy in Korea
- 발행기관
- 한국전문물리치료학회
- 저자명
- 최선영(Sun-young Choi) 윤장원(Jang-whon Yoon)
- 간행물 정보
- 『한국전문물리치료학회지』한국전문물리치료학회지 제20권 제3호, 62~73쪽, 전체 12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의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3.08.31
4,2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Pediatric home-based physical therapy (PHBPT) provides professional rehabilitation programs at the patient’s home, where the activities of daily life are actually performed. PHBPT also allows to avoid the difficulties of transporti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to the clinic. Despite these advantages, PHBPT is not yet widely practiced in Korea. There is little objective information regarding the opinions of the main stakeholders on PHBPT. To investigate the awareness and demand of PHBPT among the main stakeholders, 41 pediatric physical therapists (PT) (of 60 contacted) were recruited from different regions of Korea on the basis of the regional population distribution. The recruited PTs completed their questionnaires and also participated in collecting questionnaires from 35 medical doctors (MD) with whom they worked and from randomly selected 201 parents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recruited. The overall response rate was 85.5%. The awareness of PHBPT differed between PTs (95.1%) and parents (67.2%) (p<.001). The survey showed that 82.9% of MDs had at least heard about PHBPT. Significantly more parents (83.5%) than MDs (57.1%), and 70.0% of PTs, wanted to start PHBPT service immediately (p<.001). Significantly more parents (90.0%) than PTs (73.2%) were willing to participate in PHBPT (p<.001). Opinions on the details of policies and procedures (i.e., necessity for prescription, treatment cost, and treatment frequency) differed among the respondent groups, but all favored a minimal qualification of 6∼10 years of pediatric experience and a treatment session duration of 1 hour. These findings provide objective information to support health service administrators to understand the current demand and develop feasible policies and procedures of PHBPT in Korea.
목차
Abstract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결과
Ⅳ. 고찰
Ⅴ. 결론
References
<부록>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핸드폰 사용이 목과 어깨 근육의 근육활성도와 피로도에 미치는 영향
- 불안정지지면에서 일어서기 동작훈련이 뇌졸중 환자의 균형능력에 미치는 영향
- 각속도 300 °/sec에서 기능적 발목불안 유무에 따른 고유수용성감각, 발목 근력, 그리고 최고 회전력까지 걸리는 시간의 생체역학적 특성 차이
- 무릎뼈 높이에 대한 도수측정방법의 신뢰도와 타당도
- 아래등세모근 근력강화 운동방법들 사이의 어깨뼈 위쪽 돌림근과 다른 어깨 근육들의 근활성도 비교
- 신발 굽 높이와 근피로가 젊은 여성의 정적 및 동적 균형에 미치는 영향
- Effects of Three Different Hip Positions in Frontal Plane on Activity of Abdominal Muscles During Active Straight-Leg Raise
- 소아 가정방문 물리치료의 인식도와 수요도에 관한 설문조사
- 줄자 및 사진촬영 측정을 이용한 어깨뼈 벌림 측정에 대한 신뢰도 연구
- A Comparative Study of Item Difficulty Hierarchy of Self-Reported Activity Measure Versus Metabolic Equivalent of Tasks
- 장애물 통과 트레드밀 보행훈련이 뇌졸중 환자의 보행기능에 미치는 효과
참고문헌
관련논문
의약학 > 의학일반분야 BEST
- 중증정신질환자가 이용하는 지역사회 정신건강서비스에 대한 체계적 고찰
- 인지행동치료가 조현병 환자의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체계적 고찰
- 조현병 환자에게 적용한 그룹인지재활프로그램이 인지기능과 작업적 참여에 미치는 효과
의약학 > 의학일반분야 NEW
- Effect of Neck Stabilization Exercise with Reverse Plank Exercise on Neck Alignment and Muscle Function in University Students with Forward Head Posture
- Comparison of sternocleidomastoid (SCM) muscle thickness in college students with forward and normal posture: an ultrasound cross-sectional study
- The effect of shoulder muscle exercise therapy on functional level, grip strength and pain in patients with lateral elbow tendinopathy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