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Investigation of ‘Use Motivation-Benefit’ Relations in the Social Networking Service Type
- 발행기관
- 한국소비문화학회
- 저자명
- 박종철(Park, Jongchul) 정남호(Chung, Namho) 구철모(Koo, Chulmo)
- 간행물 정보
- 『소비문화연구』제16권 제2호, 247~268쪽, 전체 2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3.06.30
5,4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최근 소셜 네트워킹 서비스(Social Networking Service: SNS)의 급속한 확산은 개인 간의 상호작용(interaction) 뿐만 아니라 개인과 조직 간의 상호작용의 양상을 뒤바꾸어 놓고 있다. 이에 따라 많은 학문 분야에서 왜 개인과 조직들이 SNS를 사용하는지에 대해 많은 연구를 진행하였다. 그러나 기존의 연구들은 주로 SNS의 이용동기와 사용의도 간의 직접적인 관계를 고찰하거나, 특정 SNS(예; 트위터)에 한정하여 연구를 진행하여 왔다.
이에 본 연구는 SNS가 유발하는 혜택에 초점을 두어 SNS 이용동기와 지속적 이용의도 간의 새로운 심리적 메커니즘을 고찰하였으며(SNS 이용동기→혜택→지속적 이용의도), 더 나아가 SNS의 유형을 개방형 SNS와 폐쇄형 SNS로 구분하고, 이들 SNS의 유형에 따른 ‘SNS 이용동기→혜택→지속적 이용의도’ 경로관계 차이를 제시하였다. 분석결과, 정보적 동기는 지식공유에, 사회적 동기는 지식공유와 사회적 관계에, 쾌락적 동기는 흥미성에 모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사회적 관계와 흥미성은 지속적 이용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SNS유형에 따른 결과에 의하면, 개방형 SNS가 폐쇄형 SNS에 비하여 지식공유에 대한 중요성을 더 높게 지각하며, 이로 인해 SNS에 대한 지속적 이용의도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과적으로 본 연구는 기존의 SNS관련 연구에서 상대적으로 소홀했던 심리적 메커니즘과 SNS의 유형별 차이를 실증적으로 분석하고, SNS 유형에 따른 실무적인 시사점을 제공하는데 의의가 있다고 할 수 있다.
영문 초록
Currently, a new communication revolution such as social networking service (SNS) has been transforming the way of interaction between people in both of individual level and organizational level. This phenomenon of what we are facing in the business and individual life raise much research issues and bring us an attention to conduct research in academic areas. However, prior researches have only interest in studying for overall SNS as a new technology and its affection. Thus, we take a look at more specifically the types of SNS characteristics how they differ from each other and the usage motivations; for example, closed type(facebook, cyworld) vs. open type(twitter, micro blog). We applied a motivation theory for SNS context and suggested that our results showed that information, social, and hedonic motivations have significantly influenced on knowledge sharing, social relationship, interesting. In continue, knowledge sharing, social relationship, and interesting make users to participate in SNS activity. However, we could not find significant differences from the types of closed or open. Research implications are provided as well.
목차
요약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및 연구가설 설정
Ⅲ. 연구방법
Ⅳ. 분석 결과
Ⅴ. 결 론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제주특별자치도개발공사의 그린마케팅 사례 연구
- 위험지각태도모델을 활용한 음주 관련 인식 및 행동 유형화 연구
- 개인의 기술준비도가 소셜커머스 내 여행상품 평가에 미치는 영향
- 종목별 스포츠 팬의 관람동기 비교
- 소셜 네트워킹 서비스 유형에 따른 ‘이용동기-혜택’간의 관계 고찰
- 가계 부채특성과 부채비율이 가계의 경제적부담 및 소비지출에 미치는 영향
- 재무걱정(Financial Worry)과 심리적 오류
- 대학생소비자의 즉석섭취식품 안전만족도에 따른 재구매의도 및 추천의도
- 마케팅 시각에서 “안녕, 인공존재!” 해석하기
- 중소벤처기업 신제품의 초기시장 개척전략
- 혁신제품의 가치적합성이 관계품질과 수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 브랜드 인지도, 지각된 서비스 품질, 물리적 환경이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 은퇴에 따른 가계경제구조의 변화
- Bankruptcy Filers’ Financial Behaviors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분야 BEST
- AI와 디지털 문화 산업의 결합에서 저작권 및 윤리적 규범 준수의 필요성 연구
- 종합병원 간호사의 환자안전문화인식과 조직의사소통만족이 안전간호활동에 미치는 영향
- 인공지능(AI)과 윤리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분야 NEW
더보기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