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입학사정관전형의 경험적 타당화 탐색
이용수 216
- 영문명
- A validation study of the admission officer system: Focus on K University
- 발행기관
- 국민대학교 교육연구소
- 저자명
- 이기종(KiJong Rhee)
- 간행물 정보
- 『교육논총』제32집, 23~33쪽, 전체 11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3.02.28
4,1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대학입시의 새로운 전형양식으로 입학사정관제도가 도입된 지 여러 해 지났으나 잠재역량의 발전가능성에 주목해 신입생을 선발하는 입학사정관제도의 내적 타당도에 관한 경험적 연구는 희소하다. 이 연구는 서울소재 K대학의 입학사정관전형을 통해 입학한 학생의 학기별 평균평점의 변화추이가 어떠한지를 조사해 입학사정관전형의 내적 타당도를 검증하기 위한 것이다. 표본크기 138명의 평균평점을 잠재성장모형으로 분석한 결과, 입학사정관전형 입학생의 평균평점은 기대와는 달리 입학 후 지속적으로 낮아지고 있으며, 이런 결과는 입학사정관전형 입학생이 입학당시 능력수준보다 높게 지원해 입학한 결과 자신의 능력수준에 맞춰 입학한 정시모집 입학생과의 성적경쟁에서 열세에 있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이는 입학사정관전형의 내재적 근거를 위협하는 것으로 입학사정관전형이 보다 심층적으로 그리고 여러 정보로 구성된 종합예술적 행위이어야 함을 뜻한다.
영문 초록
The research is aimed to verify the internal validation of the admission officer system by examining trend of GPA of students in K University whom admitted by the admission officer. The analysis of GPA of 138 students using latent growth modeling, GPA of the students admitted by the admission officer continues to decline and this results are considered to be sticky wicket in academic competition with students admitted by general admission because students admitted by the admission officer applied to the university in higher level than their capability. This results of this study imply that the admission officer system must be a action of synthetic art consisted of more in-depth and a variety of data.
목차
요약
I. 들어가며
II. 입학사정관 전형의 경험적 증거
III. 연구방법
IV. 해석 및 제한점
참고문헌
Abstract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