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신규 유목 차밭에서 간작물을 이용한 동해 및 풍해의 저감
이용수 26
- 영문명
- Protection from Wind Damage and Cold Injury by Intercropping in Young Tea Plantations
- 발행기관
- 한국차학회
- 저자명
- 송인관(In Kwan Song) 김봉찬(Bong Chan Kim) 송관정(Kwan Jeong Song)
- 간행물 정보
- 『한국차학회지』제19권 제1호, 89~92쪽, 전체 4쪽
- 주제분류
- 농수해양 > 기타농수해양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3.03.31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제주지역 환경조건에서 신규다원 조성시 간작물의 차나무 동해와 풍해에 미치는 영항을 분석하고자, 수수, 수단그래스, 옥수수를 차나무 3열 간격당 1줄로 정식하여 수행하였다.
간작물의 초장은 수수와 수단그래스가 가장 길었으며, 옥수수가 가장 짧았다. 바이오매스량은 수수보다 수단그래스와 옥수수가 많았으며, 옥수수는 10월 이후 대부분 고사하여 겨울철 한해 경감는 작물로는 부적합 하였다. 간작물의 분지수는 수수 4.9개로 가장 많았으며, 옥수수는 분지수가 없었고, 도복은 수수가 0으로 가장 강하였다. 간작물의 초장은 수수와 수단그래스가 가장 길었으며, 옥수수가 가장 짧았다. 간작물의 미기상에 미치는 영향을 보면, 풍속은 무처리에 비하여 50-70%정도 저감시키는 효과가 있었고, 결로 현상은 무처리구가 간작물 처리구보다 늦게까지 지속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최저온도 및 평균온도는 무처리 및 간작물간에 통계적인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간작물 처리가 차나무에 미치는 영향에서는 차나무의 초장, 수관폭, 새삭수, 신초장 등 생육특성 미친 효과는 없었다. 겨울철 동해에 미치는 영향은 옥수수를 제외한 수수 및 수단그래스 처리구에서 동해 저감 효과가 있었다.
영문 초록
Abstract The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intercropping on the microclimate conditions and prevention of wind damage and cold injury to young tea plantations. Soghum, sudangrass, and corn were used in a row at an interval of three hedges of growing tea plants. Soghum and sudangrass grew taller than corn. The biomass production of sudangrass and corn were higher than soghum, whereas the tillering of soghum was the highest. This intercropping reduced the wind speed by approximately 50-70% and decreased the wetness index much earlier than the control at low levels. On the other hand, there was no effect on the minimum and mean daily air temperature. Intercropping had no effect on tea plant growth, such as shoot formation and length. The occurrence and level of cold injury, however, were decreased by intercropping with soghum and sudagrass but not with corn.
목차
Abstract
서론
재료 및 방법
결과 및 고찰
적요
감사의 글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성인의 녹차섭취 및 식품선호도와 관계
- 사염화탄소를 투여한 흰쥐에서 녹차 추출물이 간기능 개선 및 항섬유화에 미치는 영향
- 신규 유목 차밭에서 간작물을 이용한 동해 및 풍해의 저감
- 보호관찰직원의 스트레스감소를 위한 차문화치료의 효과
- 차나무(Camellia sinensis L.) 잎의 엽록소형광 특성과 CO₂ 고정능
- 제조원이 다른 떡차의 특수성분 분석 및 항산화활성 평가
- 저장 온도에 따른 녹차 우림물의 기능성 성분 변화 양상
- 차응애의 천적 긴털이리응애의 성충과 난의 부화에 대한 친환경농자재의 영향
- 대학생의 녹차 섭취 및 차 문화 인지의 변화 연구
- 북송대 徽宗의 예술성에 대한 茶文化史的 試論
- 가공 방법 및 저장기간에 따른 대나무통 발효차의 성분 변화
참고문헌
관련논문
농수해양 > 기타농수해양분야 BEST
- 한국 치유농업의 현황 및 특성 분석
- 한국 차 산업 동향 분석을 통한 정책 대안 모색
- 대형마트 PB상품의 브랜드 이미지, 품질수준, 지각된 가치가 브랜드 신뢰와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PB사과 상품을 중심으로-
농수해양 > 기타농수해양분야 NEW
- 국내 유전자교정 식물의 사후 안전관리 제도 적용 가능성에 관한 규제 시나리오 분석
- Effect of cytokinin on the regeneration and proliferation of in vitro cultures of the endemic plant Arabis takesimana Nakai
- Selection of null genotype without four proteins (KTI, lectin, P34, and 7S α′ subunit) in black soybeans with green cotyledons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