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Study on Determinants of Job Creation in Korea SME: Listed SME(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
- 발행기관
- 한국상품학회
- 저자명
- 오세열(Oh, Sei-Yeol) 정호정(Jeong, Ho-Jeong)
- 간행물 정보
- 『상품학연구』제30권 제7호, 33~44쪽, 전체 12쪽
- 주제분류
- 경제경영 > 경영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2.12.31
4,2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2003년부터 2011년까지 우리나라 증권시장에 상장된 모든 중소기업에 대한 패널데이터를 가지고, 중소기업의 일자리창출 결정요인과 일자리창출효과가 큰 기업의 특성을 분석하였다. 실증분석 결과, 일자리창출결정요인으로는 기업연수(age), 매출액증가율(sales gr), 토빈q(tobinq), 상시근로자수(emp) 등 네 가지 변수가 도출되었으며, 기업연수가 짧을수록, 매출액증가율, 상시근로자수, 그리고 기업가치가 클수록 일자리창출효과는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상호작용효과에서는 창업연도가 짧은 고성장기업 일수록 신규일자리창출의 많은 부분을 설명해주고 있었다. 상시근로자를 많이 고용하는 규모가 큰 기업의 경우 매출액증가율이 높을수록 일자리창출효과가 커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상시근로자수가 적지만 기업연수가 큰 기업, 또는 기업연수가 적으면서 상시근로자수가 많은 기업의 일자리창출효과가 큰 것으로 밝혀졌다. 더불어 중소기업의 고용창출효과는 규모가 일정수준에 이르기까지 하락하다가 그 이후 증가하는 관계로 추정된다. 따라서 졸업 단계에 있는 중소기업과 졸업 후 중견기업에 대한 육성과 보호대책이 요구된다. 한편 우리나라 중소기업은 제조업종과 비제조업종간 일자리창출결정요인에 차이가 나지 않았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proposal is to search for determinants of job creation and firm’s characteristics which have big job creation effect on listed SME(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 in Korea. We found out four job creation determinants as firm age, sales growth rate, corporate value and average employees numbers. We examine job creation effect depends upon ‘Gazelle effect’ on a listed SME in Korea. ‘Gazelle’ means young age and small size firm that is associated with rapid growth. The decreasing age of firm make job creation effect greater. And the increasing sales growth rate, regular employees number and corporate value make job creation effect greater. The decreasing age of firm and sales growth rate make job creation effect greater(Gazelle effect1). And the increasing size of firmand sales growth rate make job creation effect greater(Gazelle effect2). But the smaller firmage and the greater firmsize is, the greater job creation effect is. On the contrary, the greater firm age and the smaller firm size is, the greater job creation effect is(Gazelle effect2). There is curvi-linear relationship between size of firm and job creation effect. That is, job creation effect of SME is increasing with firm size till certain level of size but after that job creation effect is decreasing. The upbringing and protection of backbone firms in Korea which exist between SMEs and large enterprises is to be required. The determinants of job creation of SME in Korea betweenmanufacturing firmand non-manufacturing firmmake no difference.
목차
요약
I. 서론
II. 기존연구 및 연구가설
III. 표본 및 연구방법
IV. 실증분석 결과
V. 종합논의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CEO 경영성향, 혁신지향성 및 종업원 혁신활동이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
- 스폰서십의 유형(공식 vs. 매복) 및 스폰서 신뢰도에 대한 소비자 반응: 설득지식 모델을 바탕으로
- 소셜커머스에 대한 소비자 태도가 사용의도와 구전의도에 미치는 영향
- 도시의 브랜드 개성이 도시 평가에 미치는 영향
- 기업의 사회적 책임활동과 공정무역제품 신뢰, 구매의도, 프리미엄가격 지불의도와의 관계
- 서비스회복 과정에서 고객 성별의 효과
- 그린제품의 가시적 및 비가시적 속성이 환경 효과성 지각과 제품 태도 형성에 미치는 영향
- 영화 공식 SNS의 정보품질에 영향을 미치는 팔로워 특성에 관한 연구
- 기업의 사회적 책임 진정성이 기업 사회적 책임 평가, 관계의 질, 그리고 기업 이미지에 미치는 영향
- 우리나라 중소기업의 고용창출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 온라인 인증마크의 신뢰 구축 효과에 관한 연구: 조절변수의 효과 검증을 중심으로
- 환경의식과 환경지식이 소비자의 녹색 구매행동에 미치는 영향
- 광고수용자의 종결욕구와 자아해석이 공명광고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조절효과
- 컴포트 슈즈의 기술, 시장현황 및 성공전략
- 유형제품 국제교환에서 제품수요의 환경 동태성, 고객 지향적 마케팅 조직행동, 문화적 민감성, 그리고 협력이 기회주의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
참고문헌
관련논문
경제경영 > 경영학분야 BEST
- 근로시간 단축(주 4일제) 관련 글로벌 동향 분석과 변화 방향 제언
- 직무만족, 조직몰입, 성과, 이직의도 간의 관련성 - 문헌고찰 및 메타분석
- 소비자의 ESG경영요구가 ESG경영지지에 미치는 영향
경제경영 > 경영학분야 NEW
- 윤리경영연구 제25권 제1호 목차
- 지속가능성 이론에서 본 지속가능성 규제 강화를 감안한 기업의 접근 시각 검토: 기업 ESG경영 추구 시 경쟁법 적용 상의 고려 사항
- 에너지산업의 탄소감축 활동에 대한 사례 연구: Shell, TotalEnergies, ExxonMobil을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