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선 자세에서 엉치엉덩관절뼈 기준점 촉진의 검사자간,검사자내 신뢰도
이용수 27
- 영문명
- Inter-Examiner and Intra-Examiner Reliability of Sacroiliac Anatomical Landmarks Palpation Test in Standing Posture
- 발행기관
- 한국전문물리치료학회
- 저자명
- 임범창(Beom-chang Yim) 이정아(Jung-ah Lee) 이충휘(Chung-hwi Yi)
- 간행물 정보
- 『한국전문물리치료학회지』한국전문물리치료학회지 제14권 제2호, 61~67쪽, 전체 7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의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7.06.30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inter- and intra-examiner reliability of the sacroiliac joint (SIJ) anatomical landmarks palpation. Two physical therapists and one doctor specializing in rehabilitation examined 22 asymptomatic subjects. They examined anterior superior iliac supine (ASIS), posterior supe-rior iliac supine (PSIS) and iliac crest (IC). For the assessment of intra-examiner reliability, 3 examiners repeated the measurements 3 times over a 2-week interval. Kappa (㎏) yielded intra-examiner reliability that ranged between slight to fair for the ASIS (㎏=.06 to .26; mean ㎏=.19),and slight for the PSIS(㎏=-.04 to .18; mean ㎏= .07) and slight to fair for the IC (㎏=.06 to .32; mean ㎏=.21). Inter-ex-aminer reliability was slight (ASIS ㎏=.13; PSIS ㎏=.05; IC ㎏=14).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reli-ability of the assessing SIJ anatomical landmarks using palpation and observation as an indication of SIJ dysfunction still remains questionable. Before this test can be relied upon as an accurate indicator of SIJ dysfunction, it must undergo further research. This further research needs to examine not only reliability, but also validity, sensitivity and specificity.
목차
Abstract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결과
Ⅳ. 고찰
Ⅴ. 결론
인용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맞춤형 인솔이 산업체 근로자의 작업 후 신체불편지수와 통증에 미치는 영향
- 전기자극이 체중 부하를 제거한 신생 흰쥐 척수조직의 NT-3 및 MAP2 발현에 미치는 영향
- 선 자세에서 엉치엉덩관절뼈 기준점 촉진의 검사자간,검사자내 신뢰도
- 푸시업플러스(Push-up plus) 운동 시 견갑골 익상 유무에 따른 어깨안정근의 근활성도 비교
- 초음파 치료와 레이저 치료가 아급성 요통에 미치는 영향
- 고빈도 및 저빈도 전침이 당뇨쥐의 혈당과 면역글로불린 G 및 콜레스테롤 농도에 미치는 영향
- 시청각적 모델링의 관찰이 뇌졸중 환자의 상지기능 재활에 미치는 영향
- 노인에서 동적 균형운동이 발목의 근 수축개시 시간에 미치는 효과
- 근긴장도검사기 (Myotonometer)를 이용한 상완이두근과 대퇴사두근 검사의 신뢰도 연구
- 직업성 만성요통 환자와 정상성인에서 동요 유발 시 근 수축 개시시간 비교
- 단기 가정방문물리치료 시행이 일상생활동작의 개선에 미치는효과
참고문헌
관련논문
의약학 > 의학일반분야 BEST
- 중증정신질환자가 이용하는 지역사회 정신건강서비스에 대한 체계적 고찰
- 인지행동치료가 조현병 환자의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체계적 고찰
- 조현병 환자에게 적용한 그룹인지재활프로그램이 인지기능과 작업적 참여에 미치는 효과
의약학 > 의학일반분야 NEW
- Effect of Neck Stabilization Exercise with Reverse Plank Exercise on Neck Alignment and Muscle Function in University Students with Forward Head Posture
- Comparison of sternocleidomastoid (SCM) muscle thickness in college students with forward and normal posture: an ultrasound cross-sectional study
- The effect of shoulder muscle exercise therapy on functional level, grip strength and pain in patients with lateral elbow tendinopathy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