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effect of collaborative teacher development meeting on constructing teacher identity and developing a college English curriculum
- 발행기관
- 한국외국어교육학회
- 저자명
- 김영미(Kim, Young Mi) 정성희(Cheong, Sung Hui)
- 간행물 정보
- 『Foreign Languages Education』Vol.19 No.4, 399~424쪽, 전체 2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2.12.31
5,9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e current study examines the impact of collaborative teacher development meeting on the nonnative-teachers’ identity change and the success of college English education programs.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13 Korean, who speak Korean as their native language and possess diverse academic backgrounds. Participation notes, individual interviews, and post surveys were used for qualitative data collection. At the collaborative teacher development meeting, instructor participants (1) were encouraged to talk about their own concerns and class dynamics in Teaching English through English(TEE), (2) exchanged their teaching practices and changes about the actual implementation. Findings portray that college instructors believed the meeting played a positive role in (1) enhancing non-native teacher identity and (2) settling down the new program efficiently. This study suggests that collaborative teacher development meetings for college English educators provides a rich foundation for the overall quality of college English education.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중학교 영어회화수업 강화를 위한 학교 영어교육 과정분석 및 효과성과 만족도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College Students’ Perceptions of English Learning in Korea
- 한국어의 음절구조 관점에서 본 일본어 특수박의 발음교육
- 학문 목적 한국어 분야에서의 요구 분석 연구 동향 분석
- Developing a Rating Scale for Assessing Young Language Learners’ Speaking Performance
- Research and Practice in Learning Portfolio Adoption on College Writing: A Case Study
- 비판적 사고력 신장을 위한 테크놀로지 기반 영어 쓰기 학습 모형 연구
- 인지적 요인과 정의적 요인 차원에서 사회교육적 동기 모형과 L2 동기 자아 체계의 비교
- The Intercultural Competence and Language Learning of Korean EFL Teachers during Overseas Training
- 어휘의 노출빈도와 과제 관여도 수준이 한국인 영어학습자의 어휘 발달에 미치는 영향
- 상호협력적 교수 전문성 개발 모임이 교수 자아정체성과 커리큘럼 운영에 미치는 영향
- 한국 대학영어교육 프로그램 분석
- English and Chinese Speaking Strategies of Korean University Students
- 듣기중심과 읽기중심의 교수 차이가 대학생 영어 학습자의 토익 점수 향상에 미치는 영향
- 한국어 학습자의 한국인 이미지의 특징과 형성요인
- 생태학 관점으로부터의 소그룹 토론 활동 이해
- 영어 음운현상의 인식 향상을 위한 교과서 분석 및 교육매체 개발
- 논픽션 읽기 자료를 활용한 초등영어 과정 중심 쓰기 지도에 대한 연구
- 국가영어능력평가시험 (NEAT) 쓰기평가 문항분석
- 초등교사의 영어교과서 선정기준에 대한 인식 및 활용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Journal of Education and Teaching Vol.3 No.7 Contents
- 自我教育期望对智慧课堂学习投入的影响:以意向性自我调节为中介
- 应用型高校的教育家精神:传统根源与当代创新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