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Evaluation of a Community-Based Rehabilitation Program in Wonju City
- 발행기관
- 한국전문물리치료학회
- 저자명
- 이충휘(Yi Chung-hwi) 이현주(Lee Hyun-ju)
- 간행물 정보
- 『한국전문물리치료학회지』한국전문물리치료학회지 제10권 제1호, 139~158쪽, 전체 20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의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3.03.31
5,2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is study evaluated the community-based rehabilitation services provided by the Wonju Public Health Center from Jan. 2000 to Dec. 2002. Ninety-four persons with disabilities dwelling in the community participated and the surveys were completed in an interview during home visits. The respondents’ demographic, socio-economic, and medical characteristics, rehabilitation service received, willingness to receive home-visit rehabilitation services, and satisfaction with the rehabilitation services were analyzed by frequency and percentage. A Likert scoring system consisting of five agreement-disagreement categories was applied to each item, consisting of Very Satisfied, Satisfied, So-So, Poorly Satisfied, and Very Poorly Satisfied. The major findings were as follows: 1) The rehabilitation services used included medical rehabilitation (26.9%), followed by social assistance (23.5%), diagnosis by a physician at home (17.3%), medical examination (12.3%), housekeeping services (6.2%), and vocational and educational rehabilitation (3.5%). 2) Of the medical services, the respondents desired physical therapy at home and free rental of rehabilitation equipment, such as wheelchairs, canes, walkers, the most, followed by home visit occupational therapy, nursing services, and oriental medicine service in descending order. 3) Some of the respondents expressed so-so satisfaction (50.0%) or dissatisfaction (16.9%) with the rehabilitation services provided by the Wonju Public Health Center. These findings should prove useful when planning or extending community-based rehabilitation programs for the homebound disabled in the community.
목차
Abstract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결과
Ⅳ. 고찰
Ⅴ. 결론
인용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12주 근력강화훈련 동안 표면근전도 신호의 특성
- 최대 등척성 수축시 표면근전도에서 근 수축 개시점 결정을 위한 기법들의 신뢰도
- 원주시 지역사회중심 재활사업 평가
- 복횡근 강화운동이 체간 신전-굴곡 시 척추 분절 운동에 미치는 영향
- 정상인에서 보행속도가 발관절의 관절각과 발바닥 최대 압력 분포에 미치는 영향
- 경피신경전기자극 후 상부 승모근 활성도와 EMG gap의 변화
- 미끄럼 바닥에서 안정성 유지를 위한 균형 전략과 평가방법
- 동결견 환자의 초음파치료 시 신장여부에 따른 관절가동범위 회복과 통증감소 효과 비교
- 초음파 가열 시 In Vitro 및 In Vivo에서 Microwave Radio-Thermometer와 탐침온도계의 일치도
- 체중지지 트레드밀훈련이 편마비 환자의 보행과 서기균형에 미치는 영향
- 낙상 경험 유무에 따른 노인의 기능적 보행성취도 점수(FAP score) 비교
참고문헌
관련논문
의약학 > 의학일반분야 BEST
- 대학생의 소셜 미디어에 대한 과도한 이용과 중독이 수면의 질에 미치는 영향
- 중증정신질환자가 이용하는 지역사회 정신건강서비스에 대한 체계적 고찰
- 조현병 환자에게 적용한 그룹인지재활프로그램이 인지기능과 작업적 참여에 미치는 효과
의약학 > 의학일반분야 NEW
- Effect of maximum expiration with hip adductor contraction during bridge exercise on trunk muscle activity in healthy individual
- The Effects of Combined tDCS and Sling Exercise on Cervical Muscle Properties: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 Exploring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Smart Insoles in Gait Parameter Measurement: A Cross-sectional Study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