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Characteristics of Surface Electromyography During Strength Training of 12 weeks
- 발행기관
- 한국전문물리치료학회
- 저자명
- 신화경(Shin Hwa-kyung) 조상현(Cho Sang-hyun) 차광석(Cha Kwang-suk)
- 간행물 정보
- 『한국전문물리치료학회지』한국전문물리치료학회지 제10권 제1호, 109~128쪽, 전체 20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의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3.03.31
5,2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is study tested whether repeated measurement of median frequency (MDF)-related variables could express the muscle power changes during a 12-week DeLome strengthening program, by using consecutive overlapping FFT (Fast Fourier transformation) and integrated EMG (IEMG) from surface EMG data for isometric and isotonic exercise. To evaluate the effect of training, the following were recorded every 3 weeks for the elbow flexors and knee extensors of 5 healthy male volunteers: MVC, 1RM, limb circumference, and surface EMG during isometric MVC or isotonic contraction at 10RM load. From the EMG data, IEMG and variables from a regression analysis between MDF and time were obtained. MVC, 1RM, IEMG, and initial MDF increased linearly over the training period. The fatigue index and slope of the regression line increased temporarily until the 6th week and decreased thereafter. From these results, there appeared to be enhanced neural recruitment of fast twitch fibers in the first 6 weeks and continued enhancement in the recruitment and hypertrophy of fast twitch fibers, which led to increased fatigue resistance, over the last 6 weeks. Accordingly, the MDF and IEMG analysis technique could demonstrate the effect of the program detected significant changes in both isometric and isotonic contractions. EMG analysis methods can be used to estimate the electrophysiological and histological changes in skeletal muscles during a strengthening program.
목차
Abstract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결과
Ⅳ. 고찰
Ⅴ. 결론
인용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12주 근력강화훈련 동안 표면근전도 신호의 특성
- 최대 등척성 수축시 표면근전도에서 근 수축 개시점 결정을 위한 기법들의 신뢰도
- 원주시 지역사회중심 재활사업 평가
- 복횡근 강화운동이 체간 신전-굴곡 시 척추 분절 운동에 미치는 영향
- 정상인에서 보행속도가 발관절의 관절각과 발바닥 최대 압력 분포에 미치는 영향
- 경피신경전기자극 후 상부 승모근 활성도와 EMG gap의 변화
- 미끄럼 바닥에서 안정성 유지를 위한 균형 전략과 평가방법
- 동결견 환자의 초음파치료 시 신장여부에 따른 관절가동범위 회복과 통증감소 효과 비교
- 초음파 가열 시 In Vitro 및 In Vivo에서 Microwave Radio-Thermometer와 탐침온도계의 일치도
- 체중지지 트레드밀훈련이 편마비 환자의 보행과 서기균형에 미치는 영향
- 낙상 경험 유무에 따른 노인의 기능적 보행성취도 점수(FAP score) 비교
참고문헌
관련논문
의약학 > 의학일반분야 BEST
- 대학생의 소셜 미디어에 대한 과도한 이용과 중독이 수면의 질에 미치는 영향
- 중증정신질환자가 이용하는 지역사회 정신건강서비스에 대한 체계적 고찰
- 조현병 환자에게 적용한 그룹인지재활프로그램이 인지기능과 작업적 참여에 미치는 효과
의약학 > 의학일반분야 NEW
- Effect of maximum expiration with hip adductor contraction during bridge exercise on trunk muscle activity in healthy individual
- The Effects of Combined tDCS and Sling Exercise on Cervical Muscle Properties: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 Exploring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Smart Insoles in Gait Parameter Measurement: A Cross-sectional Study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