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유인등대를 활용한 친수공간의 시설, 프로그램, 제도에 관한 연구
이용수 67
- 영문명
- A Study on Facility, Program, Institution of Water-familiar Space developed on the Manned Lighthouse - Focused on the Manned Lighthouse in Young-Nam Area -
- 발행기관
- 한국항해항만학회
- 저자명
- 안웅희(Woong-Hee Ahn)
- 간행물 정보
- 『한국항해항만학회지』제29권 제3호, 275~282쪽, 전체 8쪽
- 주제분류
- 공학 > 해양공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5.04.30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한국의 등대는 1903년 6월 팔미도에서 점등된 것을 기점으로 지난 2003년에 건립 100주년을 맞이하였다. 등대는 본래 천혜의 자연조건 속에 입지해 있고, 바다와 관련된 시적 감흥을 간직하고 있으며, 태양에너지 등을 동력원으로 하는 친환경적인 건축시설이다. 이처럼 등대는 그 잠재적 가치와 개발 가능성이 높은 시설이다. 그 가운데 적절하게 개발된 유인등대는 이제 전통적인 기능과 역할에 충실한 항로표지일 뿐만 아니라 온 국민이 향유하고 체험하는 새로운 시설이자 공간이 되었다. 따라서 유인등대를 친수공간으로 개발할 경우 보다 체계적이고 미래지향적인 건축시설, 운영프로그램 그리고 관련제도 등이 수반되어야 할 것이다. 본 연구는 해양수산부의 친수공간개발사업이 실시된 이래 전국의 유인등대가 보다 더 적절하게 활용되기 위해 다각도로 검토되어야 할 논제들을 밝히고자 의도하였다.
영문 초록
The year 2003 is the centennial of the birth of the modem lighthouse in Korea. The lighthouse was originally surrounded by a beautiful nature and it contains the romantic sensitivity which relates with the ocean. And in some case it is a environment-friendly architectural facility which uses a alternative energy like a solar cell. Now the properly developed manned lighthouse is not only functioning as a traditional aid, to navigation for the vessel, but also it becomes the new facility and space for all civilians who might visit and experience. If we want to vitalize the traditional lighthouse into water-familiar space, we must reconsider the facilities, various operational programs and the institutions for future-oriented development. For this situation we intended to reveal in this study that all the issues which relate to the proper use of the manned lighthouses in the whole country, since the project of water-familiar space started by MOMAF.
목차
요약
Abstract
1. 서론
2. 항로표지관리소와 유인등대
3. 유인등대의 내재가치와 개발가능성
4. 유인등대의 분류와 개발의 예시
5. 운영 프로그램의 정립
6. 건축시설의 정립
7. 관련제도와 기관
8. 결론
후기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컨테이너 운송체계 개선을 위한 화물수거-배송계획 시스템 개발
- PAR 저감기법을 적용한 COFDM 시스템의 성능분석
- 선박 접이안 조종 시뮬레이터를 이용한 조종위험도 평가 기법에 관한 연구
- 정밀 DGPS측량의 기준점 분석에 따른 수치지형도와 수치해도의 통합관리
- 영도해안의 야간경관평가 연구
- 세립분의 함유량이 Sand Column의 투수성에 미치는 영향
- RCC/RSC별 운영효율성 분석
- DELFT-3D를 이용한 울산신항 주변해역의 불규칙파랑변형에 관한 연구
- 해상시위의 기본권성과 집시법적용가능성 고찰
- DEA 모형을 이용한 세계 주요 항만의 효율성 평가
- 차세대 컨테이너크레인에 대한 고찰
- 해상교통흐름을 고려한 방파제 배치에 관한 연구
- 해상노동법의 발전에 관한 사적연구
- 월미도와 영종도 수로간 아쿠아버스 통항안전관리에 관한 연구
- 유인등대를 활용한 친수공간의 시설, 프로그램, 제도에 관한 연구
- 주요 해운선진국의 해사행정체계에 대한 고찰
- 자동화 크레인 시스템을 위한 IEEE1451 기반 스마트 모듈 개발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