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Concurrent Validity, Inter-Tester and Intra-Tester Reliability of Goniometric Measurement of Active Elbow Range of Motion Using 4 Different Types of Measuring Instruments
- 발행기관
- 한국전문물리치료학회
- 저자명
- 구애련(Marion E. Current) 이충희(Yi Chung-hwi)
- 간행물 정보
- 『한국전문물리치료학회지』한국전문물리치료학회지 제2권 제2호, 46~55쪽, 전체 10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의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1995.12.31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ssess the concurrent validity and reliability of goniometric measurement of joint motion. Subjects were 40 healthy university student. Measurements were performed by 4 inexperienced physical therapy students. Four different instruments were used and three readings were taken with each instrument in random order making a total of 12 readings for flexion of the right elbow of each subject. Goniometers used were 1. Universal 2. Fluid-based goniometer/inclinometer 3. Digital LCD goniometer 4. Electronic goniometer/torsiometer. The results were as follows: Concurrent validity was highest (r=94) with the universal and digital LCD tools. Interrater reliability (Pearson Product Moment Correlation) was good for each tool. Interrater reliability calculated by ICC(2,1) was highest (.96) with the tensiometer and lowest (.78) with the digital LCD goniometer. Intrarater reliability calculated by ICC was excellent(≥.90) for all instruments. These results show that concurrent validity, intrarater and interrater reliability are very good in the used of all four types of goniometers/inclinometer/tensiometer, even with inexperienced raters. These results confirm the almost universal reliance on hand held goniometers for joint measurement by physical therapists as being a reliable practice. Further research should be done clinically with actual patients.
목차
Abstract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결과
Ⅳ. 고찰
Ⅴ. 결론
인용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주관절 가동범위 측정법에 대한 동시타당도와 신뢰도
- 시각 및 청각 되먹임을 통한 하지 체중이동훈련이 편마비환자 보행특성에 미치는 효과에 관한 연구
- 정신훈련이 운동과제 수행시 정확도에 미치는 효과
- 비복근의 고유수용성 신경근육 촉진법과 정적 신장에 대한 효과 비교
- 뇌졸중 후 회복과 물리치료
- 강직의 최신 지견과 물리치료와의 관련성
- 침형 경피신경 전기자극과 은침 전기자극 치료가 압통 역치에 미치는 효과
- 기능적 전기 자극: Part Ⅱ
- 견관절 장애와 관절 가동운동
- Backward Sway 동안의 자세움직임 형태에 대한 근전도와 생체역학적 분석
- 발달장애 아동 어머니의 가정치료 참여도
참고문헌
관련논문
의약학 > 의학일반분야 BEST
- 대학생의 소셜 미디어에 대한 과도한 이용과 중독이 수면의 질에 미치는 영향
- 중증정신질환자가 이용하는 지역사회 정신건강서비스에 대한 체계적 고찰
- 치매안심센터에 등록된 이용자에게 적용한 프로그램 효과에 대한 체계적 고찰 및 치매안심마을의 향후 연구 방향
의약학 > 의학일반분야 NEW
- Effect of maximum expiration with hip adductor contraction during bridge exercise on trunk muscle activity in healthy individual
- The Effects of Combined tDCS and Sling Exercise on Cervical Muscle Properties: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 Exploring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Smart Insoles in Gait Parameter Measurement: A Cross-sectional Study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