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Study of the Occurrences of Musculoskeletal Related Pain Sufferers Among Fitness Center Users
- 발행기관
- 한국전문물리치료학회
- 저자명
- 김선엽(Suhn-yeop Kim) 양정옥(Joung-oak Yang)
- 간행물 정보
- 『한국전문물리치료학회지』한국전문물리치료학회지 제13권 제3호, 92~101쪽, 전체 10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의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6.09.30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and the current condition of musculoskeletal pain sufferers among fitness center users. The investigation used self-reporting questionnaire with the 797 subjects. On average, the subjects were 30.6 years old, 168.8 ㎝ in height and 65.2 ㎏ in weight. Among them, 423 were male (53.1%) and 374 were female (46.9%). Out of them, 276 suffered from pain, (35.2%). More men felt muscle aches than women (p<.05). In terms of pain, lower back area topped the list with 44.9%, followed by the lower extremities (30.1%), the neck (17.8%) and the upper part of the body (17.8%). Dieters suffered the most from pain (86.2%) while those exercising to build strength suffered the least with 26.8%. There was a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the purpose for exercising and the amount of pain suffered (p<.05). By kind of exercise, pain stroke aerobic exercisers disproportionately with 42.4% while it almost steered clear of exercisers for strengthening with 26.9%. There was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the kind of exercise and pain suffered (p<.05). The type of suffering differed by body shape. A significantly higher number of overweight people experienced pain than underweight people (p<.05). 32.8% of pain sufferers commented that the pain affects their workout, and on this issue there was no gender difference (p>.05). The pain caused more difficulties in doing activities of daily living for overweight or obese peoples than underweight peoples (p<.05). More than a third of health club and fitness center users are experiencing musculoskeletal pains. Measures such as professional training or information provision is required to prevent injury or disorder caused by improper exercise.
목차
Abstract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결과
Ⅳ. 고찰
Ⅴ. 결론
인용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편측 뇌손상 환자에서 시각적 정보에 의한 운동 순서의 내잠 학습에 대한 분석
- 만성 뇌졸중 환자의 보행에 보행보조기가 미치는 영향
- 지역사회 뇌졸중 환자를 위한 근력강화 운동과 보행훈련의 효과
- 운동센터 이용자의 근골격계 관련 통증 발생 실태
- 고관절 근력강화운동이 뇌졸중환자의 기능증진에 미치는 효과
- Hook-lying 자세에서 한쪽 다리 들기시 지지면의 안정성에 따른 복사근의 근활성도 비교
- 편마비 환자의 골반운동이 균형능력에 미치는 영향
- 한국판 버그 균형척도 평가도구의 라쉬분석
- Adjuvant로 유발된 관절염의 흰쥐에서 초음파와 고전압 맥동 전류 치료의 효과
- 연령증가에 따른 여성의 대퇴사두근과 슬괵근 근력의 변화
- 척추보조기 착용과 일어서기 운동전략이 지면반발력과 하지근활성도에 미치는 영향
- 허혈성 뇌졸중 유발 백서에서 수증운동이 하지근 및 대뇌의 HSP 70 발현에 미치는 영향
- 수중이완운동이 편마비 환자의 근긴장도에 미치는 영향
참고문헌
관련논문
의약학 > 의학일반분야 BEST
- 중증정신질환자가 이용하는 지역사회 정신건강서비스에 대한 체계적 고찰
- 대학생의 소셜 미디어에 대한 과도한 이용과 중독이 수면의 질에 미치는 영향
- 인지행동치료가 조현병 환자의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체계적 고찰
의약학 > 의학일반분야 NEW
- Electrophototherapeutic Resources Associated or Not With Exercise and Dosimetry Used in Subacromial Impingement Syndrome: A Scoping Review
- Comparison of Gluteus Medius and Quadratus Lumborum Muscle Activity During Hip Abduction Exercises in Individuals With Gluteus Medius Weakness
- Influence of Improvement in Respiratory Muscle Strength on Recovery of Balance and Gait Ability in Patients With Stroke: A Prospective Observational Study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