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Effects of Pelvic Tilt Exercise on Balance of Hemiplegic Patients
- 발행기관
- 한국전문물리치료학회
- 저자명
- 정한신(Han-shin Jeong) 윤정규(Jung-gyu Yoon)
- 간행물 정보
- 『한국전문물리치료학회지』한국전문물리치료학회지 제13권 제3호, 41~48쪽, 전체 8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의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6.09.30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is study investigated therapeutic effects of pelvic tilt exercise (PTE) on weight bearing and body sway during sit-to-stand (STS) on 18 hemiplegic patients who had visited the Hanyang University Seoul Hospital and Injae University Sanggyebek Hospital physiotherapy rooms. The study compared the patients with 18 normal adults. The subjects were sampled out from those who could get up independently, maintain a standing posture more than 10 seconds, understand the movements of this study and have no difficulty in performing the tasks. By executing STS in a natural way with habitual movements before and after PTE, the weight bearing was measured by using Mediance Ⅱ. In order to compare the difference of weight distribution, weight bearing and body sway on affected and nonaffected sides during STS before and after PTE, the Wilcoxon Signed Ranks Test was used. The statistical significance level was based on p<.05. The results revealed that the difference of weight distribution in the hemiplegic group was significantly decreased (p<.05), wherea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healthy group (p>.05). Weight bearing loaded on the affected side was 42.53±7.65% and 44.20±6.32%, respectively, in the hemiplegic group during STS before and after PTE. Weight bearing during STS after PTE is increased significantly, as compared with weight bering before PTE (p<.05). Body sway in the hemiplegic group was significantly decreased (p<.05). As mentioned, PTE proved to be effective for improvement in weight bearing on the affected side during STS of hemiplegic patients.
목차
Abstract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결과
Ⅳ. 고찰
Ⅴ. 결론
인용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편측 뇌손상 환자에서 시각적 정보에 의한 운동 순서의 내잠 학습에 대한 분석
- 만성 뇌졸중 환자의 보행에 보행보조기가 미치는 영향
- 지역사회 뇌졸중 환자를 위한 근력강화 운동과 보행훈련의 효과
- 운동센터 이용자의 근골격계 관련 통증 발생 실태
- 고관절 근력강화운동이 뇌졸중환자의 기능증진에 미치는 효과
- Hook-lying 자세에서 한쪽 다리 들기시 지지면의 안정성에 따른 복사근의 근활성도 비교
- 편마비 환자의 골반운동이 균형능력에 미치는 영향
- 한국판 버그 균형척도 평가도구의 라쉬분석
- Adjuvant로 유발된 관절염의 흰쥐에서 초음파와 고전압 맥동 전류 치료의 효과
- 연령증가에 따른 여성의 대퇴사두근과 슬괵근 근력의 변화
- 척추보조기 착용과 일어서기 운동전략이 지면반발력과 하지근활성도에 미치는 영향
- 허혈성 뇌졸중 유발 백서에서 수증운동이 하지근 및 대뇌의 HSP 70 발현에 미치는 영향
- 수중이완운동이 편마비 환자의 근긴장도에 미치는 영향
참고문헌
관련논문
의약학 > 의학일반분야 BEST
- 중증정신질환자가 이용하는 지역사회 정신건강서비스에 대한 체계적 고찰
- 대학생의 소셜 미디어에 대한 과도한 이용과 중독이 수면의 질에 미치는 영향
- 인지행동치료가 조현병 환자의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체계적 고찰
의약학 > 의학일반분야 NEW
- Electrophototherapeutic Resources Associated or Not With Exercise and Dosimetry Used in Subacromial Impingement Syndrome: A Scoping Review
- Comparison of Gluteus Medius and Quadratus Lumborum Muscle Activity During Hip Abduction Exercises in Individuals With Gluteus Medius Weakness
- Influence of Improvement in Respiratory Muscle Strength on Recovery of Balance and Gait Ability in Patients With Stroke: A Prospective Observational Study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