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발목관절 가동범위 증진 프로그램이 노인의 보행과 균형능력 향상에 미치는 효과
이용수 421
- 영문명
- Effects of Increasing Ankle Range of Motion Program on Ambulation and Balance for the Elderly With Balance Disorder
- 발행기관
- 한국전문물리치료학회
- 저자명
- 이성은(Sung-eun Lee)
- 간행물 정보
- 『한국전문물리치료학회지』한국전문물리치료학회지 제12권 제2호, 28~36쪽, 전체 9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의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5.06.30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the increasing ankle range motion program on ambulation and balance for the elderly with balance disorder. Eighteen elderly subjects were administered with a timed test twice; approximately 4 weeks apart. The exercise group participated in a fall prevention exercise class at the Y.S. Senior Welfare Center of the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The session consisted of a stationary cycle, static stretching ankle joints, balance boards, and progressive resistive exercises using the Thera-ban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ly, the increasing ankle range of motion program was effective on the exercise group. Gait-speed was improved (p<.005). Secondly, balance was significantly improved (p<.000). Thirdly, increasing ankle range of motion program was effective in ankle dorsiflexion which was the major risk factor for falls among the elderly. Differences in gait and balance between the groups were examined using a paired t-test (p<.05). The exercise group demonstrated significantly higher values of gait-speed, ankle range of motion, and balance when compared with the non-exercise group.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the increasing ankle range of motion program is an effective intervention for the elderly with balance disorder.
목차
Abstract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결과
Ⅳ. 결과
Ⅴ. 고찰
인용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전기자극 시 활동주기 형태의 변화가 혈중젖산과 혈장효소에 미치는 영향
- 발병 3~6개월의 뇌졸중 환자에서 부가적 운동치료가 하지의 기능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
- 정적 스트레칭과 에비안스-함베르크 스트레칭이 슬관절의 관절가동범위의 변화에 미치는 영향
- 노인 뇌졸중 입원환자의 역학적 연구
- 수정된 건측 상지 운동 제한 치료가 편마비 아동의 손 기능 향상에 미치는 효과
- 발목관절 가동범위 증진 프로그램이 노인의 보행과 균형능력 향상에 미치는 효과
- 능동 및 수동 운동과 기능적 전기자극에 의한 대뇌 피질의 활성화
- 만성 요통근로자의 흉추운동프로그램 효과
- 신체활동과 골초음파지표와의 연관성
- 내ㆍ외측 Wedge와 넙다리네갈래근 각의 차이가 안쪽빗넓은근/가쪽넓은근 비에 미치는 영향
- 휠체어 추진속도 및 등받이 경사각도에 따른 둔부 압력 변화 특성
참고문헌
관련논문
의약학 > 의학일반분야 BEST
- 중증정신질환자가 이용하는 지역사회 정신건강서비스에 대한 체계적 고찰
- 인지행동치료가 조현병 환자의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체계적 고찰
- 조현병 환자에게 적용한 그룹인지재활프로그램이 인지기능과 작업적 참여에 미치는 효과
의약학 > 의학일반분야 NEW
- Effect of Neck Stabilization Exercise with Reverse Plank Exercise on Neck Alignment and Muscle Function in University Students with Forward Head Posture
- Comparison of sternocleidomastoid (SCM) muscle thickness in college students with forward and normal posture: an ultrasound cross-sectional study
- The effect of shoulder muscle exercise therapy on functional level, grip strength and pain in patients with lateral elbow tendinopathy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