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내ㆍ외측 Wedge와 넙다리네갈래근 각의 차이가 안쪽빗넓은근/가쪽넓은근 비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199
- 영문명
- Effects of Medial, Lateral Wedge and Difference of Quadriceps Angle on Vastus Medialis Oblique/Vastus Lateralis Muscle Activity Ratios
- 발행기관
- 한국전문물리치료학회
- 저자명
- 유원규(Won-gyu Yoo) 이현주(Hyun-ju Lee) 이충휘(Chung-hwi Yi)
- 간행물 정보
- 『한국전문물리치료학회지』한국전문물리치료학회지 제12권 제2호, 11~19쪽, 전체 9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의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5.06.30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Patellofemoral pain syndrome (PFPS) is often attributed to malalignment and maltracking of patella within the patellofemoral joint. Most exercise for PFPS has focused on selectively strengthening the vastus medialis oblique muscle (VMO). This study was designed to identify the effect of medial, lateral wedge and difference of Quadriceps angle (Q-angle) on vastus medialis oblique/vastus lateralis muscle CVL) activity ratios. The subjects were twenty young adult males who had not experienced any knee injury. They were asked to per form isometric contraction exercises in three postures using medial and lateral wedge. The EMG activity of the VL and VMO were recorded in three postures by surface electrodes and normalized by %MVC values derived from seated, isometric knee extensions. The normalized EMG activity levels (%MVC) of the VL and VMO for the three postures of the lower extremities were compared using 2-way repeated measures ANOVA with 1 between-subject factor (group), and 1 within-subject factor (wedge). Results of repeated measures of ANOVA’s revealed that the medial wedge isometric contraction exercise produced significantly greater EMG activity of VMO/VL, ratios in Group Ⅰ (Q-angle 18° or less) (p<.05). But, the medial wedge isometric contraction exercis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of VMO/VL ratios in Group Ⅱ (Q-angle 19° or more) (p>.05). These results have important implications for selective VMO muscle strengthening exercises in PFPS patients.
목차
Abstract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결과
Ⅳ. 고찰
Ⅴ. 결론
인용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전기자극 시 활동주기 형태의 변화가 혈중젖산과 혈장효소에 미치는 영향
- 발병 3~6개월의 뇌졸중 환자에서 부가적 운동치료가 하지의 기능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
- 정적 스트레칭과 에비안스-함베르크 스트레칭이 슬관절의 관절가동범위의 변화에 미치는 영향
- 노인 뇌졸중 입원환자의 역학적 연구
- 수정된 건측 상지 운동 제한 치료가 편마비 아동의 손 기능 향상에 미치는 효과
- 발목관절 가동범위 증진 프로그램이 노인의 보행과 균형능력 향상에 미치는 효과
- 능동 및 수동 운동과 기능적 전기자극에 의한 대뇌 피질의 활성화
- 만성 요통근로자의 흉추운동프로그램 효과
- 신체활동과 골초음파지표와의 연관성
- 내ㆍ외측 Wedge와 넙다리네갈래근 각의 차이가 안쪽빗넓은근/가쪽넓은근 비에 미치는 영향
- 휠체어 추진속도 및 등받이 경사각도에 따른 둔부 압력 변화 특성
참고문헌
관련논문
의약학 > 의학일반분야 BEST
- 중증정신질환자가 이용하는 지역사회 정신건강서비스에 대한 체계적 고찰
- 인지행동치료가 조현병 환자의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체계적 고찰
- 조현병 환자에게 적용한 그룹인지재활프로그램이 인지기능과 작업적 참여에 미치는 효과
의약학 > 의학일반분야 NEW
- Effect of Neck Stabilization Exercise with Reverse Plank Exercise on Neck Alignment and Muscle Function in University Students with Forward Head Posture
- Comparison of sternocleidomastoid (SCM) muscle thickness in college students with forward and normal posture: an ultrasound cross-sectional study
- The effect of shoulder muscle exercise therapy on functional level, grip strength and pain in patients with lateral elbow tendinopathy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