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efficient operation plan by a writing cognizance survey- To a Konkuk university Glocal campus students
- 발행기관
- 우리말교육현장학회
- 저자명
- 최대희(Choi, Dae-hee)
- 간행물 정보
- 『우리말교육현장연구』제6권 제2호, 229~256쪽, 전체 28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2.11.30
6,1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논문은 대학생을 대상으로 글쓰기에 관한 인식을 조사하고, 그에 따른 효율적인 운영 방안에 대해 논의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우선, 학생들을 대상으로 글쓰기에 대한 기본적인 인식을 설문지를 통해 확인하고, 다음으로 조사 결과를 분석하여, 효율적인 글쓰기 교육의 운영 방안에 대해 논의하였다. 논의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효과적인 수업이 진행되기 위해서는 수업 방식은 글쓰기 실습 위주의 수업, 토론 수업, 팀 발표 수업으로, 수업 내용은 실용적인 글(자기소개서, 이력서 등), 학문적인 글(리포트, 논문작성법 등), 시사·교양 글(독자 투고, 영화 감상문 등) 등으로 진행되어야 함을 제시하였다.
다음으로, 글쓰기 교육의 효율적인 운영을 위해 먼저, 고등 글쓰기 과정과 대학 글쓰기 과정의 연계성을 높여야 하며, 다음으로, 상호 교류의 실질적인 글쓰기 수업이 되어야 하며, 마지막으로, 글쓰기 교육 기관의 독립화가 이루어져야 함을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present how to improve writing ability and how the class can be used for effective writing to university students.
First, the current basic condition on students' writing was survey and studied. Then effective writing class and improving writing ability were discussed.
To operate effective class the following ideas were introduced:
Write practive class, debate class, and team announcement class with practical writing (personal introduction, resume, etc.), scientific writing (report, tratise creation, etc.), and current events / cultural writing (reader contribution, movie report, etc.)
To prepare intellectual talent through writing education and to improve substantive writing ability there should be a strong link between high school writing process and a university writing class, an interactive class among professors and students.
Furthermore an importance of a role on writing operation institution is presented.
목차
<요약>
1. 머리말
2. 글쓰기에 대한 인식 조사와 분석
3. 글쓰기 교육의 효율적 운영 방안
4. 맺음말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분거부부로 살아가는 일본인 결혼이주여성의 소수자 경험에 대한 단일사례연구
- ‘찾아가는 한국어교육’ 교원의 현장 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 교사로서의 성장과 장애 정체성 : “삶이 교육과정이 될 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