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언어에 반영된 문화의 모습 축제적 성격을 중심으로
이용수 283
- 영문명
- Language and Culture
- 발행기관
- 한국외국어대학교 동유럽발칸연구소
- 저자명
- 어건주(Eo, Keon-Joo)
- 간행물 정보
- 『동유럽발칸연구』동유럽연구 제32권, 25~44쪽, 전체 2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정치외교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2.10.25
5,2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논문에서는 축제를 매개로 하여 러시아어에 다양한 형식으로 반영되어 있는 문화의 모습을 살펴보았다. 각각의 언어 표현들은 그것들의 발생론적 관점에서 다양한 문화적 배경을 지닌다. 그들이 지니는 그러한 다양한 문화적 배경은 때때로 임의의 표현들에 대해 단순한 어휘의미만으로 접근하였을 때 정확한 의미 파악에 어려움을 겪게 하거나 때로 전혀 이해할 수 없는 상황에 부딪히게 할 수 있다. 언어는 그 민족의 다양한 생활 관습과 문화를 반영하고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우리가 외국어를 정확하게 이해하기 위해서는 그 언어를 둘러싸고 있는 문화적인 내용에 관해서도 알고 있어야할 필요가 있다.
언어에 영향을 주는 다양한 문화 현상들 가운데 여기서는 축제라는 특별한 시공간적 대상을 분석 대상으로 삼았다. 즉, 다양한 문화적 배경을 지닌 언어 표현들 가운데 특히 축제와 관련된 표현들에 집중하여 그러한 표현이 나타나게 된 문화적 배경과 그로 인해 획득된 의미에 관하여 알아보았다. 이를 위하여 2장에서는 러시아의 역사적 변화에 따른 축제 모습의 변화를 다섯 시기로 구분하여 살펴보았다. 그것은 이후에 수행될 축제와 관련된 어휘 표현을 분석하고 그 특성을 규정하기 위해 필요하였다. 그렇게 역사적으로 축제의 모습을 개관한 후에 언어 표현 속에 직접적으로 반영된 축제의 모습을 주제별로 분류하여 살펴보았다. 먼저 축일들과 관련된 표현들의 특성과 의미에 대해 살펴보았다. 그 다음으로 음식 문화와 관련하여 해당 분야의 어휘들은 어떠한 문화적 배경을 지니고 있는가를 알아보았다. 축제를 문화적 배경으로 하는 표현들은 일차적으로 계절적 특성을 표현하면서 사람들의 생활에 도움을 주는 정보를 제공하고 있었고, 더 나아가 은유적으로 사용되면서 일상생활에서 사용되고 있었다. 따라서 그러한 표현들을 분류하고 분석하는 것은 단순히 그 언어에 대한 지식을 확장하기 위함만이 아니라, 그 언어를 사용하는 사람들의 내면을 이해하기 위한 하나의 주요한 수단이라고 할 수 있다.
영문 초록
The aim of this study is to examine how the cultural expretions that reflected the russian culture are characterized. For a practical and efficient language understanding, acquisition of cultural knowledge is very important. Because cultural content essential role in the language understanding. In this paper, I analyze the characters of the Russian language in view of russian festivals. In chapter 2, I deal with the chracters of the russian culture. In chapter 3, I study the meaning of russian expretions from the point of view of culture.
목차
<국문개요>
Ⅰ. 머리말
Ⅱ. 러시아 축제의 모습과 변화
Ⅲ. 언어생활 속에 반영된 축제의 모습
Ⅳ.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유럽연합 가입 이후 발트 3국의 여론 변화에 관한 연구
- 언어에 반영된 문화의 모습 축제적 성격을 중심으로
- 아담 자가예프스키의 시에 나타난 상호매체성의 미학
- Prefixing as a tool for the creation of legal terms in Korean: aspects of translation into Russian and Ukrainian
- 아나 블란디아나(Ana Blandiana) 소설 연구 자전소설인가? 환상소설인가?
- 문학과 철학의 경계에서 : 우크라이나의 소크라테스, 흐리호리 스코보로다(Григорій Сковорода)의 思惟
- Reflexive Verbs in Russian and Polish and the Nature of the Lexicon
- The Structure of No Saints or Angels by Ivan Klíma
- 체코와 한국 프롤레타리아 시의 표현양식 비교연구
- 유고슬라비아 구비영웅서사시의 형식적 전승과 향후 변화 및 발전방향
- 안보의 진공을 타개하기 위한 약소국의 선택
- Romania and the Commonwealth at the Black Sea
- 고대교회슬라브어시기의 음운현상과 기호학적 상관관계 연구
- 유럽 지역 분할 개념에서의 중동부유럽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