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하종오의 시 세계에 나타난 다문화성과 그 인식의 한계

이용수  94

영문명
The Multi-culturalism Aspects in Ha Jong-Oh's Poetry and limitation of his Recognition
발행기관
한국외국어대학교 철학문화연구소
저자명
박지해(Ji-hai PARK)
간행물 정보
『철학과 문화』철학과 문화 23집, 33~53쪽, 전체 21쪽
주제분류
인문학 > 철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1.11.30
5,3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고는 다문화주의로 나아가지 못하고 여전히 다문화성이라는 사회적 현상 그 자체에 갇혀 있는 한국 내 다문화를 하종오의 시 작품을 통해 확인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하종오의 시가 다루고 있는 다문화성을 비판적으로 고찰하는 것은 다문화사회로의 이행에 대한 왜곡된 시선과 그 인식의 한계를 점검하는 데 밑거름이 될 수 있을 것이다. 하종오는 이주·이민자들의 삶을 불행과 부정의 영역 속에 묶어둔다. 즉 다문화적 사실로부터 야기되는 내부적인 현상을 부정이라는 단일한 시각으로 형상화하고 있는 것이다. 그들을 향한 폭력의 시선은 시 바깥에서만 발생하는 것이 아니다. 하종오는 시 바깥 세계에서 이루어지는 폭력을 시 안으로 들여옴으로써 독자들의 고정된 시선을 더욱 견고하게 한다. 이는 이미 디아스포라적인 존재가 되어 사회 주변부에 머무는 그들의 가능성을 제거한다는 데서 본고에서 비판의 지점에 놓인다.

영문 초록

Purpose of this thesis is understanding how Korean society, which is going on multi-society, accepts and recognizes multi-culturalism by critically analyzing the poems of Ha Jong-oh. Assuming that multi-culturalism is the internal-society phenomena which is caused by the sociological event-variety of cultural, racial, religious mixing. In this case, we can explain the migrate's behavior and its aspects in Ha's literary work by the theory of multi-culturalism. Ha's literary works describe migrated people's life as misfortune and denial. In his work, their life is composed by poverty, misfortune, scar and regret. It means, complicated multi-cultural problems are only dealt with irregularity. The violent gaze on the migrates are not only from outside of the literature, but also from the inside of the literature itself. Ha just describes the violence directly in his work, and it makes readers to stay their gaze still. Though Ha exposes misfortune of the migrates to our society that makes readers to confront the ugly truth for regret, there are too much misfortune stories involved with the migrates. it is not able to find a novelty with this approach. Thus, more study is needed on Ha's purpose of such kinds of gaze. In addition to this, multi-culturalism should be expanded by unveiling the shades of prejudice on the migrates.

목차

[국문 요약]
1. 서론
2. 다문화성에 대한 인식
3. 시선의 폭력, 폭력의 시선
4. 집단으로 포섭된 개별적 내러티브
5.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박지해(Ji-hai PARK). (2011).하종오의 시 세계에 나타난 다문화성과 그 인식의 한계. 철학과 문화, 23 , 33-53

MLA

박지해(Ji-hai PARK). "하종오의 시 세계에 나타난 다문화성과 그 인식의 한계." 철학과 문화, 23.(2011): 33-53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