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성적향상도로 본 방과후학교와 사교육의 상대적 효율성

이용수  536

영문명
Comparing the Efficiency of the After-School Program and the Private Tutoring through a Value-Added Educational Production Function
발행기관
한국재정학회(구 한국재정·공공경제학회)
저자명
김진영(Jin-Yeong Kim)
간행물 정보
『재정학연구』제5권 제3호, 1~32쪽, 전체 32쪽
주제분류
경제경영 > 경제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2.09.30
6,6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논문은 통계청 사교육비 조사를 근거로 방과후학교와 일반 사교육의 성적 상승 효과를 비교하고 평가한다. 통계청 사교육비 조사 자료를 활용한 실증분석 결과 기존 연구와 유사하게 방과 후 학교는 일반 사교육 비용이나 일반 사교육 시간을 대체하는 정도가 미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렇지만 통계청 자료를 패널 자료화 하여 1학기의 사교육 및 방과후 학교 참여 여부와 참여의 강도가 1학기와 2학기간 성적 변화 사이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는 방과후학교의 효과가 사교육 효과에 뒤지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방과후학교와 사교육 모두 한 학기 간 성적 상승효과가 크지는 않으며 사교육과 방과후학교의 효과는 학교급간 별 및 학생의 이전 성취도에 따라 차이를 보이고는 가운데, 방과후학교는 학교급으로는 고등학교, 성적으로는 중상위권 학생들에게 긍정적인 성적 상승 및 유지에 효과를 주는 반면 사교육은 학교급으로는 중학교, 성적으로는 하위권 학생들에게 도움이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영문 초록

This paper empirically evaluates the relative efficiency of the after-school program and the private tutoring. We develop an empirical framework of a value-added educational production function model, by which we can evaluate the effects of participating in the after-school program and/or the private tutoring in the first semester on the difference in scores between the first and the second semester. Using large survey data made by national statistical office of Korea, we find that both the private tutoring and the after-school program do not make much effect on the increase in student’s achievements between the first and the second semester. Also we find that relative efficiencies of the after-school program and the private tutoring are different for different school levels and achievement levels of students. It turns out that the after-school program is more favorable to students with above-average performance while the private tutoring is more favorable to those with below-average. With big differences in cost to the parents these results implies that the after-school program is more efficient than private tutoring in terms of a cost-benefit aspect. Meanwhile, we find that the substitution effect of the after-school program for the private tutoring is very weak; one-hour increase in participation time in the after-school program decreases the participation time in the private tutoring only 0.2~0.3 hours for the elementary and the middle school level, and virtually zero for the high school level.

목차

논문초록
Ⅰ. 서 론
Ⅱ. 분석의 개념적 틀과 실증분석 모형
Ⅲ. 실증분석
Ⅳ. 방과후학교의 사교육대체 효과와 그 의미
Ⅳ. 맺는말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진영(Jin-Yeong Kim). (2012).성적향상도로 본 방과후학교와 사교육의 상대적 효율성. 재정학연구, 5 (3), 1-32

MLA

김진영(Jin-Yeong Kim). "성적향상도로 본 방과후학교와 사교육의 상대적 효율성." 재정학연구, 5.3(2012): 1-3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