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건청학생과 청각장애학생의 정서지능과 음악정서지각 관계 연구
이용수 518
- 영문명
-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Intelligence and Musical Affect Perception of Normal Hearing Students and Hearing Impaired Students
- 발행기관
- 한국특수교육학회
- 저자명
- 이드보라(Lee, Debora) 최성규(Choi, Sungkyu)
- 간행물 정보
- 『특수교육학연구』제46권 제4호, 195~218쪽, 전체 2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2.03.31
4,1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는 청력 손실로 음악을 듣는 것에 어려움이 있는 청각장애학생들이 성별, 연령, 음악교육유무, 음정지각에 따라 건청학생들과 정서지능과 음악정서지각에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았다. 이 연구의 대상은 11세부터 18세까지의 학생 총 49명이었으며, 건청학생은 21명이며 청각장애학생은 28명이었다. 연구의 절차는 첫째, 음악배경정보지를 작성하도록 하였다. 둘째, 음정지각 검사를 실시하였다. 셋째, 정서지능 검사를 실시하였다. 넷째, 음악정서지각 검사를 실시하였는데 일주일 간격으로 4회 반복측정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건청학생과 청각장애학생의 정서지능이 차이가 있다(p<.01)는 것을 알 수 있었고, 음악정서지각에 있어서도 차이가 있다(p<.001)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로 청각장애학생의 선천적인 청력손실이 정서지능과 음악정서지각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러므로 청각장애학생의 정서지능과 음악정서지각을 향상시킬 수 있는 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연구가 추후에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at examining differences in emotional intelligence between normal hearing students and hearing impaired students hard of listening to music due to the hearing ability loss, and further at finding out emotional intelligence differences depending on gender, age, music education and musical interval perception. It also investigates differences in musical affect perception first between normal hearing students and hearing impaired students, and then, depending on gender, age, music education and musical interval perception. In addition, the study tries to figure out the correlation between emotional intelligence and musical affect perception.
Study subjects are 11- to 18-year-old students, forty nine in total, in their fourth to eleventh grade. 21 normal hearing students are randomly selected from those attending schools located in Busan. 28 hearing impaired students are from Y School for Students with Hearing Impairment in Daegu and M School for Students with Hearing Impairment in Ulsan. Among them, 11 students are equipped with hearing aids and 17 with cochlear implants. Hearing impaired students are chosen from those without cognitive deficits or physical disabilities.
The research takes the following steps. First, to make the subjects fill in questionnaires of musical background. Second, to perform a musical interval perception test. Third, to carry out an emotional intelligence test. Fourth, conduct four repeated musical affect perception tests in a week.
This study reveals the difference in the emotional intelligence of normal hearing students and hearing impaired students, and in the musical affect perception of them, too. These findings show that the congenital hearing ability loss of hearing impaired students has a negative effect on their emotional intelligence and musical affection perception. Thus, further researches on educational programs to improve the emotional intelligence and musical affect perception of hearing impaired students should be conducted in the future.
목차
<요 약>
Ⅰ. 서 론
Ⅱ. 연구 방법
Ⅲ. 결 과
Ⅳ. 논 의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자폐 범주성 장애 청소년과 성인의 직업교육 및 고용지원을 위한 중재 요소 고찰
- 행동연쇄중단전략이 정신지체아동의 요구하기 기능 수행에 미치는 영향
- 경도장애의 의미
- 지역사회중심 직업훈련프로그램이 지적장애 고등학생의 아파트관리기술 수행에 미치는 효과
- 기본 교육과정 국어과 쓰기 영역의 교과서 구현 양상 연구
- 초등학교 1학년 수학학습장애 위험군 학생과 비장애 학생들의 학업적 자기효능감에 대한 비교
- 한국과 미국의 자기결정 인식 관련 연구 동향 비교분석
- 건청학생과 청각장애학생의 정서지능과 음악정서지각 관계 연구
- 자기결정 학습모형에 기초한 직업훈련이 정신지체학생의 커피 만들기 작업수행행동에 미치는 영향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간호대학생에게 적용한 시나리오 기반 건강사정 실습 교육의 효과
- 장애인활동지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일의 의미가 조용한 사직에 미치는 영향
- 대학 합창 수업 맥락에서 SEL 평가도구의 적용 가능성 탐색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