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작업장 혁신프로그램 토착화에서 인사부서 및 노동조합의 역할과 활동 탐색
이용수 209
- 영문명
- Human Resource Department & Labor Union's Roleand Activity in Innovation Program at Workplace
- 발행기관
- 한국인적자원관리학회
- 저자명
- 김현동(Kim, Hyn Dong) 이동진(Lee, Dong Jin)
- 간행물 정보
- 『인적자원관리연구』제19권 제1호, 177~196쪽, 전체 20쪽
- 주제분류
- 경제경영 > 경영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2.03.30
5,2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인사부서는 회사의 경쟁력의 원천인 인적자원을 담당하는 부서로서 조직의 전략을 설계하고 실행하는데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인사부서의 활동과 역할에 있어서 전략적 비중의 증대와 작업장 혁신성과와의 연계를 밝혀 조직성과에 기여하는 방안을 제공하기 위해 이루어졌다. 현재 한국기업들은 작업장에서 혁신성과를 올려 조직경쟁력을 향상시키고자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인사부서와 노동조합간에는 이견이 존재하므로 이들은 작업장 운영을 둘러싸고 협력도 하지만 긴장관계에 놓일 수도 있다. 따라서 인사부서와 노동조합이 작업장 혁신활동에서 상호작용하는 방식에 따라 작업장 혁신성과가 달라질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인사부서의 전략적 역할과 활동이 작업장 혁신활동에서 노동조합과 어떠한 형태로 맞물려야 혁신성과와 조직경쟁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지 탐구하였다. 분석결과, 인사부서의 전략적 역할과 활동이 높아질수록 노동조합은 혁신활동에서 효율성을 강하게 추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노동조합이‘효율성’과 연관된 혁신활동에 높은 수준으로 관여하게 되면 작업장 혁신프로그램 토착화가 활성화되어 기업 재무성과에 기여하는 것으로 검정되었다. 이와 반면에‘형평성’과 연관된 혁신활동은 혁신성과를 저하시켜 기업성과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는 인사부서와 노동조합이 어떠한 형태로 상호작용하여야 작업장 혁신성과를 올릴 수 있는지 탐구하여 기업체들이 작업장 혁신프로그램을 효율적으로 실행하는 데 시사점을 제공하고 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uses WPS2009(Workplace Panel Survey) data to examine how the fit between strategic involvement of HR department and labor union’s attitudes toward workplace innovation contributes to firm innovation outcomes. The results of the current study indicate that strategic involvement of HR department facilitates innovation outcomes through increases in‘efficiency-oriented’attitudes of labor union. Moreover, the‘equity-oriented’attitudes of labor union provide reduced effects on innovation outcomes at workplaces. The present study shows that the alignment between HR department and labor union's roles and activities is a key factor to the innovation success.
목차
국문초록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과 가설
Ⅲ. 실증연구 방법
Ⅳ. 실증분석
Ⅴ. 연구의 시사점 및 한계
참 고 문 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개인주의/집단주의 성향과 조직시민행동
- 병원과 기업의 리더십 교육훈련 프로그램 적용 효과의 차이 연구
- 윤리적 리더십이 구성원의 혁신행동과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 화력발전소 근무자의 직무요구가 직무열의와 직무소진에 미치는 영향
- 학교장 리더십 연수프로그램 개선을 위한 요구조사 분석
- 작업장 혁신프로그램 토착화에서 인사부서 및 노동조합의 역할과 활동 탐색
- 병원관리자의 리더십이 병원내부 요인들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국내ㆍ일본 기업 사례 비교분석을 통한 임금피크제의 실행 효과와 그 향후 과제
- 기혼 여성의 자격 보유와 노동시장에서의 자격의 효과 분석
참고문헌
관련논문
경제경영 > 경영학분야 BEST
- 근로시간 단축(주 4일제) 관련 글로벌 동향 분석과 변화 방향 제언
- 소비자의 ESG경영요구가 ESG경영지지에 미치는 영향
- 직무만족, 조직몰입, 성과, 이직의도 간의 관련성 - 문헌고찰 및 메타분석
경제경영 > 경영학분야 NEW
- [Editorial] Management Insight Review: A New Platform for Insightful Scholarship
- Shaping Ethics at the Top: How Team Mental Models Influence Top Managerial Behavior
- A Live Shopping Experience Study of Consumer Immersion and Parasocial Relationships as a Function of the Creator's Interactive Communication Style : TikTok Live Shopping Consumers in the China and the U.S.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