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17th century Medical Service and Acupuncture & Moxibustion Technique in the period of Joseon Dynasty viewed through ‘Chimgugyeongheombang’
 - 발행기관
 - 한국의사학회
 - 저자명
 - 오준호(Jun-Ho Oh)
 - 간행물 정보
 - 『한국의사학회지』제24권 제1호, 63~71쪽, 전체 9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한의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1.09.30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All this while, ‘Chimgugyeongheombang’ has been rated as the level of 1m Heo’s personal writing. However, Huh, m, in his introduction of ‘Chimgugyeongheombang’ made it clear that his purpose of publishing this book was to criticize the doctors of the day who were tied down by one or two curative methods, and at the same time, ultimately to improve the quality of national medical service by enlightening them. It seems that such incompetent doctors’ engagement in medical service at that time was attributable to insufficient medical education system unlike today as against much social demand for acupuncture & moxibustion therapy.
  Im Heo, in an effort to enlighten the medical practitioners of the day, put emphasis on an eclectic method, and contained the theories on internal organs and meridian on a systematic basis. In addition, he made his updated medical skills known to medical circles by integrating and wrapping up the Acupuncture & Moxibustion techniques at that time. Lastly, he tried to provide the optimized information for clinical trials in his own language by using a preposterous writing style and form. In such a context, ‘Chimgugyeongheombang’ is not a special medical book gripped with a sentence, or a simple medical formula with an emphasis on empiricism, but rather it might be proper to say that his ‘Chimgugyeongheombang’ was a serious attempt to embrace all the merits of both parties.
                    목차
Ⅰ. 머리말
	                       
	                          Ⅱ. 허임이 인식한 17세기 조선의 의료 현실
	                       
	                          Ⅲ. 당대 침구 기법의 체계적 정리
	                       
	                          Ⅳ. 최적의 임상서를 위한 파격
	                       
	                          Ⅴ. 맺음말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의약학 > 한의학분야 BEST
- 제왕절개 수술이 신생아의 건강에 미치는 영향 - 장내 미생물을 중심으로
 - 소아 화폐상 습진의 임상 특성과 통합적 치료 접근에 대한 고찰
 - 영아 야제의 다빈도 한의 변증, 임상 증상 및 한의치료 분석 - 최근 5개년(2019-2024) 중의학 연구를 중심으로
 
의약학 > 한의학분야 NEW
- 대한한의학원전학회지 38권 3호 목차
 - 朝鮮에서 現代까지 韓醫學 敎育 變遷에 대한 역사적 의미 고찰과 전망: 原典 교육을 중심으로
 - 한문의서의 한글번역 연구 - 더 나은 번역을 위한 對譯語 선정에 대하여 『온열론』을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